컨텐츠 바로가기

11.18 (월)

‘거제형 고용유지 모델’로 조선업 일자리 지키기 나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 내년 6000~8000명 실직 우려

국비 지원해 숙련공 고용 유지

40명 구조조정 갈등 명천 사업장

노사 합의서 도출, 정책 첫 성과

중앙일보

지난달 25일부터 27일까지 대우조선해양 내에서 한 하청업체 노동자들이 회사 구조조정에 반대하며 고공농성 등을 했다. [사진 거제시]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 등이 있어 ‘조선산업 1번지’로 불리는 경남 거제시. 2015년부터 시작된 조선 경기 불황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여파로 세계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거제시의 조선산업도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내년 상반기쯤 두 조선소의 핵심 사업이었던 해양플랜트 관련 일거리가 대부분 마무리돼 대량 실직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가운데 거제시가 대규모 실직 사태를 막기 위해 추진하고 있는 ‘거제형 조선업 고용유지모델’(이하 거제형 고용유지모델)이 첫 성과를 거두면서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1일 거제시에 따르면 최근 대우조선해양 사내 하청업체인 ㈜명천 대표와 원청 및 협력사협의회 관계자, 노동자 대표, 조선하청지회 관계자 등 노사 양측은 거제형 고용유지모델 참여를 통해 해고 통보자의 고용을 유지하는 내용의 노사합의서를 체결했다.

사연은 이렇다. 명천은 올해 초부터 조선 경기 불황과 코로나19 여파로 수주 물량이 크게 줄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근로시간 단축 등 자구책을 썼으나 구조조정 없이는 폐업할 수밖에 없는 위기가 계속됐다. 결국 지난 8월 전체 직원 170여명 중 40명에 대해 구조조정을 추진하면서 노조와의 갈등이 시작됐다. 이때 거제시가 중재에 나섰다. 변광용 거제시장 등이 앞장서 노사 양측에 거제형 고용유지모델을 활용해 위기를 극복하자고 설득하면서 구조조정 규모를 절반으로 줄였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었다. 나머지 20명 중 희망퇴직 등으로 회사를 떠난 17명을 제외한 3명이 다시 천막농성과 고공농성 등을 벌이며 사측의 정리해고에 맞섰다. 하지만 지난 27일 이들 3명도 거제형 고용유지모델을 활용해 고용을 유지하기로 노사 양측이 합의하면서 갈등이 일단락됐다. 거제시는 지난 10월 7일 정리해고 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명천 노동자들과의 1차 면담을 시작으로 그동안 총 7차례의 개별 및 단체 협상 등을 통해 합의서를 도출하는 데 역할을 했다.

거제형 고용유지모델은 일감이 떨어진 회사 숙련공들의 일정 기간 직업훈련이나 휴업 수당 등을 국비와 시비 등으로 지원해 고용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경영이 어려워진 회사에는 특별·고용 경영안정자금을 융자하거나 지방세 유예, 상하수도 요금 감면 등의 지원도 한다. 거제시는 이달 초 이런 내용을 포함한 4개 분야 9개 사업을 추진하는 거제형 고용유지모델을 발표했다. 총 사업비 877억원을 국비와 시비 등으로 마련해 내년 말까지 사업을 추진한다.

거제시가 이런 정책을 내놓은 건 내년 상반기쯤 대우조선해양과 삼성중공업이 핵심 사업으로 추진해왔던 해양플랜트 관련 일거리가 끊길 것으로 보이고 이에 따라 여기서 일하던 6000~8000여명이 실직 위기를 맞게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이들의 가족까지 포함하면 2만~3만명인데 거제시 인구가 24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지역 경제의 위기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예상됐다.

변광용 거제시장은 “내년에 대규모 실직이 현실화되면 당장 지역경제가 타격을 받고, 또 이들 숙련공이 빠져나가면 다시 일감이 생겨도 일할 사람이 모자라는 어려움이 반복될 수 밖에 없다”며 “현재 수주량으로 보면 2022년부터는 두 조선소에 다시 대규모 숙련공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되는 만큼 그때까지 거제형 고용유지모델을 통해 최대한 외부로의 인력 유출을 막아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위성욱 기자 we@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