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은성수, "탈(脫) 탄소 움직임 맞춰 녹색·혁신산업분야 금융지원 추진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인 탈(脫) 탄소 움직임에 맞춰 녹색금융지원과 혁신산업 분야에 대한 금융지원이 중단없이 추진돼야 한다."

은성수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8일 금융발전심의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코로나19 극복 이후 우리가 선도형 경제로 도약해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날 은 위원장은 "올해 금융부문을 둘러싼 환경이 녹록지 않고 금융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요구와 기대가 높아질 것"이라며 "범 정부 차원에서 추진중인 한국판 뉴딜을 뒷받침 하기 위해 정책형 뉴딜펀드와 뉴딜금융을 시장에 안착켜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를 계기로 활성화된 비대면 금융에 대한 환경조성도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 위원장은 "디지털로 대표되는 환경변화에 대한 금융권의 대처에도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될 것"이라며 "언택트 금융에 대한 규제는 완화하면서 소비자 보호 및 공정한 경쟁환경 조성을 위한 노력도 함께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금융권 대출 만기연장과 상환 유예조치 연착륙방안을 준비함과 동시에 증가한 부채관리도 진행할 방침이다.

은 위원장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 대한 자금지원 등 금융부담 완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3월 중 종료예정인 전(全) 금융권 대출 만기연장과 상환 유예조치 연착륙방안도 준비해야 한다"며 "동시에 지난해 코로나19로 급증한 가계부채와 기업부채도 우리경제에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금융발전심의회 전체회의는 신임 위원장인 심인숙 중앙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진행하에 논의됐다. 회의에는 코로나19 금융지원 정책과 구조조정의 조화, 가계부채 관리와 병행한 청년층 실수요자 금융지원 필요성, 마이데이터 사업 추진 시 개인 편익 우선 고려 당부, 주식시장에서 장기 투자 유도방안 강화, '소비자신용법' 및 '금융소비자보호법' 분쟁조정 시스템 정비 필요성 등 다양한 의견이 제기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