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유가와 세계경제

한은, 유가상승· 경기개선 기대에 물가 상승률 전망치 상향…'인플레' 덮치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높였다.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를 지난해 11월 발표했던 1.0%에서 1.3%로 높여잡은 것이다. 국제유가 상승과 점진적 경기개선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1월 전망에 비해 물가 상승 속도가 가팔라질 수 있다고 전망한 것이다.

한은 금통위는 25일 2월 금통위 회의 후 공개한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 "금년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국제유가 상승, 점진적인 경기개선 등의 영향으로 지난 11월 전망치(1.0%)를 상회하는 1%대 초중반을, 근원인플레이션율은 1% 내외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조선비즈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조선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같은 전망은 물가 상승 압력을 높이는 요인이 지난달보다 늘어났다는 판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난달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에서는 소비자물가가 당분간 0%대 중후반 수준에 머물다 점차 1%대로 높아질 것이라 예측했다.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을 보여주는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에 대한 전망 수준도 0%대 중반에서 1%내외로 상향됐다.

결정문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축수산물가격 오름세 확대에도 공공서비스 가격 하락세 지속 등으로 0%대 중반 수준에 머물렀으며,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도 0%대 중반을 유지했다"면서도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 내외 수준으로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소비자들의 인플레 기대심리가 실제 물가상승률을 뛰어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다만 인플레이션 우려는 일축하며 통화정책은 국내경제 정상화 시점까지는 당분간 완화적 기조를 이어갈 것을 시사했다. 결정문은 올해 1월과 마찬가지로 "국내경제경제 회복세가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요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도 낮은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여전히 금융시장의 불안정에 대해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결정문은 "코로나19의 전개상황, 그간 정책대응의 파급효과 등을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자산시장으로의 자금흐름,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안정 상황의 변화에 유의할 것"이라고 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언급한 부분으로, 지난해 11월 결정문에서부터 ‘가계부채’가 추가됐고, 올해 첫 결정문에서는 ‘자산시장으로의 자금흐름’이 처음으로 언급됐다. 이같은 불안요소들이 상존하고 있는 셈이다. 금통위는 이날 기준금리를 종전 수준인 연 0.50%로 동결하기로 했다.

결정문은 "주가는 경기회복 기대와 단기급등에 따른 경계감이 함께 영향을 미치면서 상당폭 등락하였다"며 최근의 주식시장 과열 현상을 분석했다. 코스피 지수는 약 14년만에 올해 3000포인트(P)를 돌파한뒤 박스권에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금통위는 지속적으로 ‘영끌 대출(영혼까지 끌어모은 대출)’이나 ‘빚투(빚내서 투자)’ 등 최근의 자산시장 쏠림 현상에 대해 경계감을 드러내고 있다.

결정문은 또 "가계대출은 증가세가 확대됐으며 주택가격은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오름세가 확대됐다"며 지난달에 이어 주택가격의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을 진단했다. 지난해 가계대출(988조8000억원)은 전년대비 100조원 늘며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주식시장 과열열기에 따른 빚투에 부동산 투자를 위한 영끌, 코로나19에 따른 생활자금 수요까지 맞물린 결과다.

국내경제에 대해서는 완만한 성장세를 예상하면서 올해 3% 내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한은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1월 연이어 올해 성장률을 3.0%로 잡았는데, 코로나 3차 확산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IT부문 수출 호조"와 "설비 투자 증대"를 중심으로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봤다.

하지만 이외에 여타 경기지표에 대해서는 비관적 시각을 나타내며 "회복속도의 불확실성이 높다"는 시각을 유지했다. 금통위는 "민간소비는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 등으로 부진이 이어졌다"며 "고용 상황은 취업자수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등 계속 부진했다"고 평가했다.

세종=최효정 기자(saudad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