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7주기 추모식 열려
세월호 기억식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16일 오후 경기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7주기 기억식 및 4·16생명안전공원 선포식에 참석해 추도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단원고 희생자 250명 이름 호명
사고 해역 일순간 울음바다로
“침몰 원인·구조 안 한 이유 등
아직 못 밝혀 부모로서 부끄러워”
전남 진도군 조도면 인근 바다 위로 하얀 국화 꽃잎이 흩어졌다. 7년 전 이곳에서 자녀를 잃은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이 바다를 향해 꽃을 던지면서다.
16일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맞아 단원고 희생자 유가족 22명, 유가족 지인과 자원봉사자 19명이 참석한 가운데 올해도 어김 없이 사고 해역 인근에서 ‘선상 추모식’이 열렸다.
참석자들은 오전 7시10분쯤 전남 목포항 해경 전용 부두에서 해양경찰청의 3000t급 3015경비함을 타고 출발했다. 참석자들은 3시간20분을 달려 96㎞ 떨어진 사고 해역에 도착해 추도사 낭독과 묵념을 했다. 행사가 시작된 오전 10시30분은 승객 476명을 태운 세월호가 4m 높이의 뱃머리 부분만 남긴 채 수면 아래로 가라앉은 시점이다.
사고 지점에는 노란 부표가 떠있었다. 해양수산부가 2015년 세월호 사고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해둔 것이다. 부표 뒤로 맹골도, 서거차도, 동거차도가 보였다. 사고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섬인 동거차도까지 약 3.3㎞ 거리였다.
선상 추모식 세월호 참사로 숨진 안산 단원고 학생들의 유가족들이 16일 오전 전남 진도군 조도면 병풍도 인근 참사 해역에서 흰 국화를 들고 눈물을 흘리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 이호진군의 아버지이자 0416단원고가족협의회 대변인인 이용기씨(52)는 추모사에서 “오늘은 아이들이 갔던 날이고, 날씨도 그때와 비슷하다”며 “목이 메지 않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와 국회는 침몰 원인 등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며 “사고 직후 가족들을 분열시켰던 경기도교육청은 4·16민주시민교육원 출범과 관련해 우리 단체의 면담 요청을 묵살하고 다른 가족 단체의 의견만 받아들이며 또다시 가족들을 차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단원고 희생자 250명의 이름을 1반부터 10반까지 순서대로 부른 뒤, 함정 우측 난간 쪽에 서서 사고 지점을 향해 국화를 던졌다. 일순간 곳곳에서 유가족들의 울음소리가 터져나왔다. 일부는 바다를 향해 “사랑해” “보고 싶다”고 외치기도 했다.
한 아버지는 한참 고개를 숙인 채 손에 쥔 꽃을 놓지 못했다. 헌화를 한 뒤에도 유가족들은 꽃잎이 파도에 흩어지는 모습을 보면서 한동안 서있었다. 급기야 어머니 2명이 갑판 바닥에 주저앉아 오열했고, 유가족 지인과 자원봉사자들이 서로 끌어안고 눈물을 흘렸다.
현장에는 2014년 광화문광장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단식을 한 ‘유민아빠’ 김영오씨(53)의 모습도 보였다. 3년 전 광주에 정착한 김씨는 선상 추모식 참석은 처음이라고 했다. 오전 11시25분 함정은 다시 목포해경 전용 부두로 향했다. 한 아버지는 부표가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때까지 쓸쓸한 바다를 하염없이 바라봤다.
오후 3시 경기 안산시 화랑유원지에서 유족과 시민 등 100여명이 참석해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안전사회를 염원하는 ‘4·16세월호참사 7주기 기억식 및 4·16생명안전공원 선포식’이 열렸다.
김종기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아들딸들이 별이 된 지 7년이 흘렀지만 아직도 부끄러운 부모인 이유는 아직도 침몰 원인과 구조 안 한 이유를 밝히지 못하고, 책임자들은 아무런 혐의 없다는 부실수사 결과와 해경 지휘부 전원 무죄 재판 결과 때문”이라며 “촛불정권은 진상 규명 약속을 이행해 달라”고 요구했다.
시민들도 진도, 목포, 안산 등 전국 곳곳에서 열린 기억식에 참여해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세월호잊지않기목포실천회의는 오전 10시 세월호가 거치된 전남 목포신항만에서 세월호 참사 7주기 기억식 ‘봄날의 약속’을 진행했다.
사고 현장과 가장 가까운 항구였던 진도 팽목항에서도 오후 1시40분부터 추모식과 추모공연이 진행됐다. 광주에서 팽목항을 찾은 이희용씨(48)는 “일상이 바쁘다는 핑계로 그동안 세월호를 잊고 있었던 같아 일부러 팽목항을 찾았다”며 “세월호가 우리에게 남긴 숙제를 우리 사회가 제대로 해내고 있는지 반성하게 된다”고 말했다.
진도 | 오경민·안산 | 경태영·광주 | 강현석 기자 5km@kyunghyang.com
▶ [인터랙티브] 나의 탄소발자국은 얼마?
▶ 경향신문 바로가기
▶ 경향신문 구독신청하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