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오늘 아침에 모든 것이 끝났다. 거리에서 웃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현지시간 8월 30일 밤 11시 59분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서 철수한 이후 탈레반은 축포를 터뜨리며 아프간 국민과 승리를 함께한다고 말했지만, 도시 전역은 공포와 절망으로 뒤덮였습니다.
31일 완전한 탈레반 치하에 놓인 아프간에서 평소와 다른 하루를 시작한 아프간 시민들의 이야기를 영국 일간 가디언이 보도했습니다.
아리파 아마디(가명)는 이날 아침 청바지와 탈레반의 눈엣가시가 될만한 옷들을 전부 불태웠습니다.
그는 "오빠가 나가서 부르카(얼굴까지 검은 천으로 가리는 복장)를 사다 줬다"며 "난 울면서 청바지를 태웠고 동시에 희망도 같이 불태웠다"고 말했습니다.
아마디는 지난 20년 동안 서방의 지원을 받는 정부 아래서 교육과 고용 등 일상에 자유를 누렸던 세대입니다.
그는 각고의 노력 끝에 파라에 있는 세관 사무소에 취직하는 데 성공했으나 3주 만에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여성 상당수가 탈레반이 사무실을 떠나라는 요청에 쫓겨났기 때문입니다.
지금은 긴 수염을 한 남성이 그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습니다.
아마디는 "더는 그 무엇도 날 행복하게 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런 삶을 원하지 않는다"고 비통한 심정을 토로했습니다.
카불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는 네사르 카리미(가명)는 탈레반 치하의 첫날 아침을 은행 입구에서 시작했습니다.
부르카를 입은 아프가니스탄 여성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은행이 문을 열기도 전인 아침 6시 정도에 갔지만 이미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서 있었습니다.
12시까지 기다렸지만, 은행에서 돈이 떨어졌다며 인출기를 닫아버렸습니다.
탈레반은 지난 28일 은행 영업 재개를 명령했지만 1인당 출금을 일주일에 200달러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그는 "수백 명이 있었고 탈레반은 막대기로 사람들을 때렸다"며 "혼란스러운 상황이라 결국 빈손으로 집에 왔다"고 말했습니다.
화려했던 수도의 풍경은 탈레반 치하의 금욕적인 분위기에 맞춰 뒷걸음치고 있습니다.
카리미는 "카불은 이전까지만 해도 아프간에서 가장 자유분방한 도시였다"며 "화려한 헤어스타일부터 쟁글 팝, 터키 드라마까지 품었던 곳이었지만 이제 사람들은 라이프스타일을 바꾸려고 한다"고 말했습니다.
마자르-이-샤리프에 사는 자바르 라마니(가명)는 탈레반 위협을 피하고자 수염을 기르고 아프간 전통의상을 입기로 했습니다.
그는 "탈레반 치하에서는 삶과 죽음의 거리가 매우 가깝다"며 "수염과 의상이 다른 나라에서는 매우 간단한 것일지 모르지만 여기서는 목숨을 위협하는 투쟁이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한 세대의 꿈이 이렇게 된 것은 탈레반뿐 아니라 국제사회에도 책임이 있다"며 "이렇게 떠날 거면 애초에 왜 왔냐"고 분노했습니다.
운동을 즐기는 레샤드 샤리피(가명)는 평소와 같이 티셔츠와 반바지 차림으로 등산에 나섰습니다.
그는 "탈레반이 날 보고 멈춰 세우더니 총을 겨눴다"면서 "돌아가서 무슬림처럼 차려입고 다시 오라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탈레반은 1기 통치(1996년~2001년) 때와는 달리 유화적인 면모를 보이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믿는 사람들은 많지 않습니다.
앞서 지방 경찰청장을 처형하거나 부르카를 쓰지 않고 외출한 여성을 총살하는 등 과격한 행태가 전해지면서 탈레반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전히 회의적입니다.
(사진=게티이미지코리아)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