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이슈 사재기와 매점매석

1200원 뚫은 강달러 기세…달러 RP·예금·ETF으로 '사재기’ 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이 2개월여 만에 1,200원을 돌파한 6일 오후 서울 시중은행의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직장인 A씨(30)는 지난해 말 국내 주식 일부를 매도한 자금 3000만원가량을 환전해 증권사에서 달러 RP(환매조건부채권)를 매입했다. 이자에다 달러 강세 전망에 따른 환차익까지 두 마리 토끼를 노린 것이다. 달러 RP는 증권사가 보유한 달러 표시 채권을 투자자에게 판 뒤 일정 기간이 지난 뒤 약정가격으로 증권사가 다시 사들이는 것으로 은행의 달러 예금보다 이자가 높다.

A씨는 “올해 중순까지 달러값이 오른다는 전망도 있고, 향후 주식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 같아서 안전자산인 달러 매입을 늘려가는 중”이라고 말했다.

달러 강세가 이어지며 ‘달러 투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달러값은 1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6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화가치는 전날보다 4.1원 내린(환율은 상승) 달러당 1201.0원에 거래를 마쳤다. 달러값이 1200원을 넘어선 건 2020년 7월 24일(1201.5원) 이후 1년 5개월여만이다.

달러의 몸값이 단기적으로는 더 오를 것이란 전망에도 무게가 실린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위원은 “달러 강세가 올해 상반기까지 계속되면서 달러값이 1230원까지 오를 수 있다”고 말했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달러 투자를 늘릴 최적의 시기를 올해 초가 아닌 중순 이후로 꼽았다. 달러 값이 단기간에 과도하게 오른 만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라는 얘기다.

조현수 우리은행 양재강남금융센터 PB팀장은 “단기적으로 달러 값이 더 오를 수 있지만, 지난 10년의 흐름을 고려하면 현재의 달러 값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실수요자는 올해 중순까지 상황을 지켜보며 가격이 내려갈 때 분할 매수하는 게 유리하다”고 말했다.

다만 “유학자금 송금 등의 불가피한 실수요자의 경우 (단기간 달러 값이 더 오를 수 있는 만큼) 이른 시일 내에 분할 매수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 팀장은 덧붙였다.

중앙일보

달러 강세로 원화 가치의 내림세가 계속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달러 투자의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달러 예금에 가입하는 것이다. 달러 가격이 높을 때 달러를 원화로 바꾸거나, 반대로 낮을 때 원화로 달러를 사들이는 ‘환테크’가 가능하다. 예금 이자가 거의 없고 환전 수수료가 붙지만, 환차익에 따른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장점이다.

해외 주식 투자 등을 위해 환전한 달러가 있다면 달러 RP 투자도 방법이다. 달러를 단기간에 운용하면서 달러 예금보다 높은 이자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윤정아 신한PWM 강남센터 PB팀장은 “일반 예금보다 이율이 높고, 원화가치가 낮을 때 수시로 인출해 팔 수 있는 달러 RP로 단기 유동성 자금을 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코스피에 상장된 달러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하는 방법도 있다. 달러 값 등락에 따라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상품으로 환전을 하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윤 팀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국 ETF나 달러 펀드 등 매입도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해외 주식투자의 비중을 늘리는 선택지도 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상 우려 등으로 주식 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다. 김인응 우리은행 영업본부장은 “향후 미 주식시장이 조정을 받으면 엔비디아나 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 등을 저렴하게 매수할 기회가 찾아온다”며 “시장 동향을 지켜보며 미국 주식을 분할 매수할 시기”라고 분석했다.

보험료 납입과 지급이 달러로 이뤄지는 ‘달러 보험’ 투자도 있다. 보험사의 환전특약서비스 등으로 원화로 가입해도 달러로 보험료 납입이 이뤄지는 만큼 직접 환전하지 않고 원화로 ‘환테크’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금융당국이 해외 이주나 유학 계획 등 외화 보험금이 필요한 실수요자인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강화하는 등 가입 문턱이 높아지는 점은 주의해야 한다.

윤상언 기자 youn.sangu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