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19 (목)

이슈 19대 대통령, 문재인

文대통령 "무거운 짐 내려놓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윤석열정부 출범 ◆

매일경제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9일 오후 청와대 직원들의 배웅을 받으며 청와대를 나선 뒤 시민들을 향해 인사하고 있다. [이충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마지막 날인 9일 "선거 과정에서 더욱 깊어진 갈등의 골을 메우며 국민 통합의 길로 나아갈 때 대한민국은 진정한 성공의 길로 힘차게 전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날 청와대에서 발표한 퇴임연설을 통해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19대 대통령으로서 5년간의 임기를 마치고 '자연인'으로 돌아가면서 '국민 통합'을 마지막 메시지이자 새 정부 화두로 던진 것이다. 역대 누구도 누려보지 못한 40%대 지지율을 받으며 퇴임하지만 2017년 5월 취임사에서 그토록 강조했던 국민 통합이 결국 미완의 과제로 끝났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특히 국론을 갈라놓은 주범인 검수완박, 부동산 등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그는 "대통령으로서 무거운 짐을 내려놓는다"고 말문을 열며 탄핵 정국 속에 출범한 정권이 코로나19, 일본 수출규제 등을 극복했던 대한민국의 저력을 강조했다. 문재인정부의 '실패'를 부각시키고 있는 윤석열정부를 향한 메시지로 풀이된다. 대선 이후 사사건건 부딪치며 갈등을 벌였던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다음 정부에서도 성공하는 대한민국의 역사를 계속 이어나가길 기대한다"며 "이전 정부들의 축적된 성과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더 국력이 커지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길 기원한다"고 말한 것도 그 때문이다.

특히 "대한민국은 세계적인 위기 속에서 '위기에 강한 나라'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 '세계를 선도하는 나라'로 도약했다"고 단언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2차 세계대전 후 지난 70년간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나라, 2차 세계대전 후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으로 진입한 유일한 나라가 되었다"면서 "누구도 부정 못 할 빛나는 대한민국의 업적이며 자부심"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그 주역은 단연 우리 국민"이라며 "대한민국은 세계로부터 인정받고 부러움을 받는, 그야말로 '위대한 국민의 나라'이고 높아진 우리 국격에 당당하게 자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첫 일정으로 국립현충원을 방문해 방명록에 '더 당당한 대한민국으로 나아가겠습니다'란 글귀를 남기기도 했다.

특히 문재인정부 출범의 단초가 되었던 '촛불집회'를 다시 소환하며 "전 세계가 한국 국민들의 성숙함에 찬탄을 보냈다"며 "우리 국민은 세계 민주주의에 희망이 되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나라다운 나라를 요구한 촛불광장의 열망에 우리 정부가 얼마나 부응했는지 숙연한 마음이 된다"며 "우리 정부가 다 이루지 못했더라도 나라다운 나라를 향한 국민의 열망은 결코 멈추지 않을 것이고 촛불의 염원은 여전히 우리의 희망이자 동력으로 피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3번의 남북정상회담과 2번의 미·북정상회담에도 제자리로 돌아간 남북 관계와 관련해 "더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은 우리의 의지와 노력이 부족한 탓만은 아니었다. 우리의 의지만으로 넘기 힘든 장벽이 있었다"고 아쉬움을 피력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오후 6시 마지막 퇴근길을 수많은 인파와 함께했다. 청와대 직원 700여 명의 환송을 받으며 본관 앞을 나선 문 대통령은 청와대 옆 분수대까지 걸어서 이동하며 "문재인"을 연호하는 지지자 등 환송 인파와 일일이 인사를 나눴다. 연단에서 지지자들의 환호에 "다시 출마할까요"라며 농담을 건넨 문 대통령은 "앞으로 전임 대통령으로서 '정말 보기 좋구나' 소리를 듣도록 잘 살아보겠다"고 말했다. 또 "오늘로 청와대 대통령 시대가 끝났다"며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끝으로 "성공한 대통령이었습니까"라고 물으며 "성공한 전임 대통령이 되도록 도와달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서울 모처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10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한 뒤 KTX 특별열차로 고향인 경남 양산으로 내려간다.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