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1 (토)

이슈 G7 정상회담

'러시아 금 수입 금지·중국 일대일로 견제'... 신냉전 무대 된 G7 정상회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든 "러시아 금 수입 G7 함께 금지"...추가 제재
中 겨냥 770조 원 규모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
"에너지로 러 압박하다 유럽 역풍 맞을라" 우려도
한국일보

주요 7개국(G7) 정상과 유럽연합(EU) 책임자들이 26일 독일 바이에른주 엘마우에서 정상회의를 시작하기 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샤를 미셸 EU 정상회의 상임의장, 마리오 드라기 이탈리아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엘마우=AP 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현지시간) 독일에서 막을 올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의 핵심 타깃은 러시아와 중국이었다. G7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 응징 차원에서 금 수입 금지, 원유 가격 상한제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중국의 ‘일대일로’에 맞서기 위해 사회간접자본(인프라) 확충에 6,000억 달러(약 770조 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미국 중심 서방 대 중국ㆍ러시아'의 신냉전 대립 구도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러 수출 구멍 막고, 中 경제 영향력 차단 시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독일 바이에른주 엘마우에서 시작된 G7 정상회의에 맞춰 트위터에 글을 올렸다. “러시아가 수백억 달러를 벌어들이는 주요 수출품인 러시아 금 수입을 G7이 함께 금지하겠다고 발표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 러시아는 2020년에만 190억 달러(약 24조4,000억 원) 상당의 금을 수출했고, 대부분 G7 국가가 수입 중이다. 에너지에 이어 러시아 2위 수출 품목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또 러시아가 원유 가격 급등에 따른 혜택을 누리지 못하도록 가격 상한제를 적용하는 추가 제재도 제의했다. 일정한 물량을 넘어서는 러시아산 원유는 보험이나 금융대출을 제한해 수출되지 못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후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 금지, 대(對)러시아 수출통제 등 제재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남은 구멍도 추가로 막겠다는 게 미국 의도다.
한국일보

조 바이든(왼쪽에서 다섯 번째) 미국 대통령이 26일 독일 바이에른주 엘마우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엘마우=EPA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은 또 러시아의 방위산업체 겨냥 제재를 강화하고, 러시아 최혜국 대우 지위 박탈로 걷게 되는 23억 달러(약 3조 원) 규모 추가 관세 수익을 우크라이나에 지원하기로 했다. G7 정상은 27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러시아 대통령과 2시간 동안 화상회의도 진행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CNN 인터뷰에서 “이미 러시아 경제가 내년에는 8~15%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라고 주장했다.

G7 정상들은 중국 견제책도 논의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G7이 중국의 일대일로 대안으로 전 세계 건물, 네트워크, 보안시스템, 항만, 철도, 전력망 등 인프라에 2027년까지 6,00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중국이 아시아와 아프리카 국가에서 인프라 개발을 빌미로 경제ㆍ군사 영향력을 확대하는 시도를 그대로 두고 보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ㆍ나토)도 향후 10년간 지속될 ‘신 전략 개념’에 러시아는 물론 중국의 새로운 위협 문제를 포함할 계획이다.

G7 러·中 견제 시도, 내부 반발·비판도


하지만 미국과 G7의 러시아·중국 견제 시도는 난관도 수두룩하다. 4개월간 이어진 러시아 제재에도 불구하고 루블화 강세는 여전하고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 확대로 경상수지가 개선됐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다.
한국일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3일 모스크바에서 제14차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5개국) 비즈니스 포럼 개막식에 화상으로 참석하며 건배하고 있다. 모스크바=AP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러시아 금 수출 추가제재 방안의 경우 당장 유럽에서 반대 의견도 나왔다. 샤를 미셸 유럽연합(EU) 정상회의 상임의장은 “러시아 경제를 겨냥하는 방식으로 금에 집중하는 것이 가능한지, 우리 경제가 타격을 입는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원유 가격 상한제 역시 이미 악화한 유럽 에너지 상황에 또 하나의 치명타가 될 수도 있다.

중국 겨냥 인프라 투자 방안 역시 비판을 받고 있다. 미국은 6,000억 달러 중 2,000억 달러를 맡겠다고 했지만 실제 투자액과는 거리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 뉴욕타임스(NYT)는 “G7의 약속된 돈 대부분은 정부의 직접 지출이 아니다”라며 “실현 보장이 없는 공공과 민간 투자가 혼합된 것”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에서 통과된 인프라 투자 예산, 민간 기업의 수익형 인프라 사업 등을 망라했지만 중국의 영향력 제어에 어떤 효과가 있을지도 미지수다.


워싱턴= 정상원 특파원 ornot@hankookilbo.com
김현우 기자 777hyunwoo@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