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코로나19' 6차 대유행

"중국, 코로나19 재유행 등 기존 리스크에 정책 불확실성 더해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하이투자증권은 12일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등 기존 악재와 경기부양 사이의 시소게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홍콩H지수는 지난 11일 전영업일 대비 3.06% 하락하는 등 지난 6월 28일 7893으로 고점을 기록한 이후 약 7% 이상 급락했다. 봉쇄 해제 이후 경제 정상화와 경기 부양 기대감에 힘입어 안정을 찾아가던 중국 금융 시장이 기존악재, 즉 빅테크 규제 및 코로나 재유행 그리고 부동산발 신용 리스크가 다시 불거지면서 다시 흔들리고 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 당국은 빅테크 규제와 관련해 텐센트와 알리바바에 반독점 과징금을 부과했다. 양대 빅테크(거대 정보 기술 기업) 업체를 겨냥한 이번 무더기 과징금 부과는 불법적인 기업 결합 행위를 더욱 강력하게 처벌하는 내용이 핵심인 개정 반독점법시행을 앞두고 발표됐다. 박상현 연구원은 “당국이 빅테크의 인수·합병을 통한 사업 확대에 신중을 기하라는 경고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면서 “빅테크 규제완화를 원했던 시장의 기대와는 상반되는 규제 강화 지속 움직임으로 시장에 실망을 줬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재유행 우려도 증시불안을 자극했다. 상하이 봉쇄 당시와 비교해 아직 유행 규모는 작지만 산둥성과 상하이 중심으로는 코로나19가 재유행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 마카오 정부가 오는 18일까지 필수사업장을 제외한 모든 부분의 영업활동을 중단했다는 소식도 중국 내 코로나 재확산 우려를 증폭시키는 요인이다. 박 연구원은 “가뜩이나 경제 정상화 속도가 더딘 상황에서 코로나19마저 재유행 한다면 중국 정부가 실시 중인 각종 경기 부양책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각종 신용관련 지표, 특히 부동산 관련 신용 경색 리스크가 해소되지 못하고 증폭되는 점도 우려 요인이다. 확인되지 않은 중국 대형 부동산그룹 분식 회계설 뿐만 아니라 중국 내 일부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채무 불이행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중국 내 채권자들이 헝다그룹의 채무 상환 일정 연기를 거절했다는 소식도 전해온다.

박 연구원은 “중국 내 채권자들이 위안화 표시 헝다채권의 지불 일정을 거부한 것은 채무 상황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반증한다”면서 “다른 부동산 업체들의 자금 조달 및 채무 상황에 큰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중국 경기를 둘러싼 정부의 상반된 정책기조는 중국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일 전망이다. 박 연구원은 “경제 정상화를 위한 부양 정책은 긍정적이지만 기존 악재들, 즉 빅테크 규제, 제로 코로나 정책 및 부동산발 신용 리스크는 중국 경기반등을 제한할 수 있다”면서 “부동산발 신용 리스크가 확산하는 경우에는 중국 경기 경착륙 논쟁이 재차 불거질 공산이 높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중국 정부의 정책 불확실성이 여전히 중국 경기와 주식 시장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