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우주선 함께타며 갈등 해소하나...미·러, ISS 좌석 공유키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ISS 안전 운영 보장 위해 협정 타결

NASA "어떤 나라의 우주 기관도 독립적 기능 능력 갖추지 않아"

서방에 비우호적이던 러 연방우주공사 사장 교체...우주 분야 갈등 걷힐까 주목

아시아경제

국제 우주정거장(ISS). 사진=NASA 제공, 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세은 인턴기자] 우크라이나 전쟁을 기반으로 신흥 냉전을 이어오던 미국과 러시아가 우주 분야에서만큼은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15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두 나라는 이날 국제우주정거장(ISS)을 오가는 유인 캡슐에 상대방의 우주비행사를 태워주는 좌석 공유 협정을 타결했다.

미국의 비행사가 러시아의 우주선에, 러시아의 비행사가 미국의 우주선에 탑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두 명은 오는 9월 21일 카자흐스탄 바이코누르의 '코스모드롬'에서 발사되는 소유즈 발사체에 러시아의 우주비행사와 동승한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 우주비행사도 비슷한 시기에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우주센터에서 발사되는 스페이스X의 크루 드래건을 타고 ISS로 향한다.

미국의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미국의 우주비행사들은 러시아 소유즈호를 자주 이용해왔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주비행사가 미국 우주선을 타는 것은 이번이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양국은 내년 상반기 좌석 교환을 한차례 더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상대국의 우주선을 탈 각국 우주비행사까지 정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협정은 ISS의 안전한 운영을 담보하기 위해 추진돼왔다. 소유즈(러시아)나 크루 드래건(미국) 중 한쪽에 문제가 생겨서 이용할 수 없게 돼도 ISS에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을 확보한다는 차원에서다.

NASA는 성명을 통해 "우주정거장은 상호의존적으로 설계됐으며 각 나라 우주 기관의 기여를 기반으로 기능한다"며 "어떤 나라의 우주 기관도 독립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진 않다"고 전했다.

러시아 연방우주공사(ROSCOSMOS)도 "러시아나 미국의 우주선 발사가 취소되거나 현저히 지연되는 비상 상황이 발생할 경우 ISS의 러시아 섹터와 미국 러시아 섹터 운용을 위해 우주 비행사가 적어도 1명 이상 체류하도록 하려는 것"이라 설명했다.

한편 우주선 좌석 공유가 합의된 것과 더불어 미국과 서방에 강경한 태도였던 드미트리 로고진 로스코스모스 사장이 교체된 것도 양국의 우주 분야 내 갈등 국면이 전환될 가능성을 높인다. 같은 날 단행된 개각에서 유리 보리소프 러시아 부총리가 로스코스모스의 사장으로 임명됐다.

앞서 로고진 사장은 우주 분야에서 지속적인 긴장감을 조성해왔다. 그는 러시아가 ISS의 궤도 유지에 필요한 추진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추락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었다.

뿐만 아니라 우크라이나 사태로 촉발된 서방의 러시아 제재를 멈추지 않으면 ISS 운영과 관련한 협력을 중단할 것이라 경고해왔다. 여기에 영국 정부가 대주주로 참여했던 통신 기업 원웹의 위성 발사를 무산시키고 미국에 대한 우주로켓 엔진 공급을 중단한 바 있다.

김세은 인턴기자 callmese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