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4 (일)

이슈 화성연쇄살인사건 범인 자백

[이슈체크] '복지 비상구' 찾으려면 여전히 '셀프 SOS'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딱 3가지만 짚고 가겠습니다. 송파 세모녀 사건 뒤 과연 뭐가 달라졌는지, 왜 작동을 안 한 건지, 스스로 도움을 요청할 방법은 없는 건지입니다.

백희연 기자. 우선 8년간 제도상으로 달라진 건 있지요?

[기자]

네 2014년 12월 이른바 송파 세모녀법이 통과됐습니다.

당시 크게 두 가지가 문제였습니다.

우선 당사자가 신청을 해야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었기 때문에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을 찾기 어려웠습니다.

또 내야 할 서류도 많고, 생활이 어렵다는 걸 스스로 증명해야 했다는 점이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복지부는 전기료나 수도요금, 건보료 같은 정보를 지자체에 전달해서 이른바 '위기 가구'를 추적하기 시작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이번엔 끝까지 추적하지 못했습니다. 이유가 뭡니까?

[기자]

앞서 보신 것처럼 주민등록상 주소지와 실제 거주지가 달랐기 때문인데요.

건강보험료가 밀린 게 확인돼 지원 대상에 올랐고, 화성시 담당 공무원이 찾아갔지만 실제로 살고 있지 않았습니다.

숨진 세 모녀가 발견된 수원시에는 주민 등록이 안 된 상태였고요.

위기는 포착됐지만 지자체가 찾아내기 어려운 사각지대가 있다는 점이 이번에 드러나게 된 겁니다.

[앵커]

그러면 세 모녀가 직접 도움을 요청하기 어려웠던 이유가 있습니까?

[기자]

긴급 복지지원제도는 예산이 적고 선정 기준이 빡빡합니다.

지원을 신청하고 받기까지 과정을 힘들어하는 취약 계층이 많은 게 현실입니다.

스스로 이만큼 경제 사정이 어렵다고 증명해야 하고 나는 돈을 벌 능력이 없다는 걸 입증해야 하는데 그것 자체로 수치심을 느끼는 겁니다.

실제 나이가 많거나 중증 장애가 있어야 지원 대상이 되는 거라는 인식도 사회에 강하게 퍼져 있는 게 사실입니다.

취약계층을 더 적극적으로 찾아내고 신청 과정에서 낙인을 걱정하지 않게끔 꼼꼼하게 사회안전망을 갖출 필요가 있습니다.

백희연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