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3 (수)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건강한 가족] 투석보다 생존율 높은 신장 이식, 고위험군 환자도 치료 가능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고려대안암병원 이식혈관외과 정철웅 교수는 “보존적 치료법이 향상되고 새로운 면역억제제가 개발되면서 신장 이식이 가능한 경우가 늘었다”고 강조했다. 인성욱 객원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만성 콩팥병(만성 신부전) 환자가 늘고 있다. 인구 고령화와 함께 원인 질환인 고혈압, 당뇨병 환자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콩팥(신장) 기능이 저하돼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투석 치료, 신장 이식 등 신장 대체요법이 필수적이다. 특히 신장 기능을 거의 상실한 말기 신부전 환자에겐 신장 이식 수술이 가장 이상적인 치료법으로 통한다. 하지만 국내에선 여전히 신장 이식에 대한 인식이 저조한 편이다. 그만큼 신장 이식을 둘러싼 오해도 적지 않다. 고려대안암병원 이식혈관외과 정철웅 교수에게 만성 신부전의 위험성과 신장 이식 수술 경향에 대해 들었다.

Q : -신장 기능이 떨어지면 어떤 변화가 나타나나.

A : “신장은 많은 일을 한다. 몸속 노폐물을 제거하고 신체 기능에 꼭 필요한 수분·염분의 양을 조절한다. 적혈구 생성과 조혈 작용을 도우며 비타민D 활성을 담당하는 중요한 장기다. 하지만 신장 기능에 이상이 생겨 노폐물을 걸러주는 사구체 여과율이 떨어지면 몸속에 독성 성분이 쌓여 요독증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요독증은 식욕부진, 전신 부종, 단백뇨, 수면장애, 무기력감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났을 땐 이미 신장병이 상당히 진행됐을 가능성이 크다. 신장은 그 기능이 절반 가까이 떨어져도 초기엔 아무런 증상이 없기 때문이다. 신장이 ‘침묵의 장기’로 불리는 배경이다.”

Q : -만성 신부전이 치명적인 이유는 뭔가.

A : “만성 신부전이 발병하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커진다. 또 혈중 인(P) 수치가 높아져 칼슘을 흡수하지 못해 골다공증이 생기기 쉽다. 상태가 악화해 말기 신부전으로 이어질 땐 투석 치료와 이식 등 신장 대체요법이 불가피하다. 한 번 기능이 저하된 신장은 원래대로 되돌리기 어렵다.”

Q : -투석보다 이식이 더 이상적인가.

A : “말기 신부전 환자에게 가장 이상적인 치료법은 신장 이식이다. 투석은 정상 신장 기능의 약 10%만 대체할 수 있다. 요독증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다. 또한 경제적·정신적 소모가 매우 크다. 일주일에 2~3회씩 4시간 정도 투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반면에 이식할 경우 완벽하게 신장을 대체할 수 있고 투석 치료보다 생존율도 높아진다. 적합한 신장 기증자만 있다면 오랫동안 투석을 받는 것보다 조기에 신장 이식 수술을 받는 게 좋다.”

Q : -이식이 불가능한 환자도 있을 텐데.

A : “이식 대상 범위가 이전에 비해 크게 늘었다. 이식 수술 전후에 시행하는 보존적 치료법이 향상되고 새로운 면역억제제가 개발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원인과 상관없이 말기 신부전을 앓고 있는 환자의 대부분은 신장 이식이 가능하다. 특히 과거에는 장기 수혜자와 기증자의 혈액형이 다르면 이식이 불가능했다. 하지만 현재는 항체를 걸러내는 혈장교환술 등 전 처치를 통해 혈액형이 다르거나 교차반응 양성인 경우에도 이식을 시도해볼 수 있다.”

Q : -국내 신장 이식 건수는 어느 정도인가.

A : “국내에선 매년 2500여 건의 신장 이식술이 이뤄진다. 신장 이식은 간 이식과 마찬가지로 기증 방식에 따라 ‘뇌사자 이식’과 ‘생체 신장 이식’으로 나뉜다. 이 중 뇌사자 신장 이식이 전체 건수의 40%에 해당하며, 나머지 60%는 생체 신장 이식으로 행해진다.”

Q : -뇌사자 장기 이식 비율이 낮은 수준인가.

A : “그렇다. 장기 기증 선진국은 뇌사자 장기 이식 비율이 전체의 80%에 달한다. 인구 100만 명당 장기 기증자 수는 스페인의 경우 48명, 미국은 33명이다. 우리나라는 10명 안팎으로 저조한 편이다.”

Q : -고위험군 및 외국인 환자 대상 수술 경험이 많다고 들었다.

A : “고려대안암병원은 일찍이 고위험군과 외국인 환자 대상 장기 이식에 집중했다. 혈액형 불일치 이식, 교환 이식 등 다른 병원에서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고난도 장기 이식을 잇달아 성공시켰다. 특히 몽골을 포함한 개발도상국 외국인 환자의 수술이 많이 이뤄지고 있다.”

Q : -이식 환자가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A : "신장 이식술을 받은 환자는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수칙은 ‘면역억제제 복용’이다. 이식 후에도 거부반응을 줄이기 위해 꾸준히 면역억제제를 복용해야 한다. 이때는 면역 기능이 떨어져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생활습관도 중요하다. 정상 체중을 유지하면서 음식을 싱겁게 먹는 게 좋다. 콜레스테롤과 동물성 기름을 제한하고 음주와 흡연은 피해야 한다. 신장의 수명은 환자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잘 관리하면 30~40년 동안 건강한 신장을 유지할 수 있다.”

신영경 기자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