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유동성 여건 급격 위축된 상황…물가·고용지표 등에 금리 변동성 확대 가능성"-하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홍재영 기자]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이투자증권이 13일 12월 미국 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전후로 금리 변동성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분석했다.

김명실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 긴축 영향으로 달러화 공급이 줄어들며 미국 국채시장에서도 유동성 상황이 악화됐다"며 "이에 따라 국채 유동성 지수 및 금리 변동성 지수가 빠르게 상승해 최근에는 2020년 3월 코로나19(COVID-19) 위기 당시 수준까지 근접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 국채시장의 유동성 악화를 크게 4가지 요인으로 구분했는데, 먼저 "연준의 양적 긴축 실시로 기조적 매수세가 줄어든 가운데, 고강도 긴축이 계속돼 주요 투자 주체의 국채 매도 쏠림 현상이 나타나 수요기반이 약화된 데 주로 기인했다"며 "또한 미국 국채 최대 투자자인 해외 중앙은행 등이 자국 통화가치 방어를 위해 유동성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미국 국채 보유규모를 축소한 점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그 외에도 "금융 규제 강화(보완적 레버리지 비율인 SLR 산정 시 국채를 익스포저에서 제외해 주는 예외조치가 2021년 3월 종료돼 은행의 국채시장 조정기능 약화)로 대형은행의 국채매입 여력이 줄어든 점, 마지막으로 MMF가 단기국채를 매수하는 대신 연준 RRP(Reverse Repurchase Agreement) 투자를 확대(2021년 말 1조7000억달러→올해 10월 2조3000억달러)한 점이 국채시장의 수급불균형을 심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위축된 수요 여건 속에 일부 수요를 개인들이 대체하게 됨에 따라 국채시장의 변동성은 오히려 확대되는 중"이라며 "한편 향후 미국 국채시장이 통화 긴축 감속과 최종금리 수준의 상방 위험 확대라는 상충된 재료를 시장이 어떻게 해석할 지가 관건"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과거와 달리 유동성 여건이 급격히 위축된 상황에서 최종금리 수준의 상방 위험에 포커스를 둘 경우 향후 물가, 고용지표 결과 등에 따라 금리 변동성이 확대될 소지가 높은 편"이라며 "이전 대비 금리 하방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점은 사실이나 단기간에 급락한 금리에 대한 레벨 부담도 동시에 작용하고 있어 12월 FOMC 전후로 금리 변동성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한편 김명실 연구원은 "12월12일 한국전력공사는 입찰을 통해 2년물과 3년물을 각각 3800억원, 1400억원 발행을 확정했다"며 "특히 2년물에 1조원 이상의 주문이 몰려 강세 발행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2년물과 3년물 금리는 각각 4.470%, 4.650%로 형성돼 전일 민평대비 각각 59.5bp(1bp=0.01%), 47.7bp 낮은 수준으로 발행됐다"며 "지난주 한전채 발행 한도를 확대하는 법안이 국회에서 부결돼 향후 한전의 조달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높아졌으나, 한전채 발행은 11월28일 이후로 강세 기조를 이어갔다"고 말했다.

아울러 "개정안 부결로 한전 발행 물량이 더 줄어들 수 있다는 기대와 AAA급에 대한 시장의 신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발행 강세로 연결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그는 "한편 현행제도상 한전채 발행한도는 자본금과 적립금을 더한 금액의 2배로 제한되는데, 올해 30조원이 넘은 한전의 영업적자로 인한 대규모 당기순손실이 적립금에 반영되면 내년 3월 이후 신규 사채 발행이 어려워질 수 있는 상황"이라며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의 설명에 따르면 현행 한전법을 위반하지 않고 한도가 초과한 사채를 상환하기 위해서는 내년 1분기 안에 전기료를 kW 당 64원으로 상향 조정이 필요하다"며 "즉 내년초 올려야 하는 전기료 인상분이 올해 인상분(19.3원)의 3 배가 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12월 임시국회를 앞두고 한전법 개정이슈가 재논의될 것으로 보여 결과에 따른 발행시장 영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홍재영 기자 hjae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