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이슈 취업과 일자리

한경연 “고용 인센티브 등 ‘적극적’ 노동정책, 실업률 감소에 긍정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의 취업·구직 상담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용서비스, 직업훈련, 고용 인센티브 같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실업급여 지급 등 소극적 노동시장 정책보다 실업률 감소에 더 기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21일 발표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이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가 2019년 기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 국가들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에 대한 지출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예산 비중을 토대로 비교한 결과, 한국은 OECD 평균(0.72%)의 약 절반 수준인 0.37%를 기록하고 있었다.

국가별 순위에서도 OECD 33개국 가운데 20위를 기록하고 있어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지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았다. 전체 노동시장 정책의 지출 규모 대비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지출 비중은 OECD 국가들은 평균 52.55%를 기록한 반면, 한국은 44.05%였다.

경향신문

OECD 국가 노동시장정책 지출이 실업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지출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고용 인센티브 정책의 경우 GDP 대비 지출 비중(0.09%)이 OECD 평균(0.33%)보다 0.24%포인트 낮았다. 반면 직접일자리 창출 관련 지출 비중은 GDP 대비 0.10%로, OECD 평균(0.05%)보다 높았다.

보고서가 OECD 국가들의 2000~2019년 패널데이터를 참조해 분석한 결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은 실업률과 장기실업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지출이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실업률은 약 0.24%포인트 감소했다. 장기실업률도 약 0.17%포인트 줄었다.

정책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고용 인센티브와 직업훈련이 실업률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고용 인센티브 규모가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실업률은 약 0.76%포인트, 장기실업률은 약 0.59%포인트 감소했다. 직업훈련 규모가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실업률은 약 0.43%포인트, 장기실업률은 약 0.21%포인트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일자리를 만드는 직접일자리 창출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가운데 유일하게 실업률을 늘리는 쪽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고서는 이에 대해 “유의미한 수치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실업급여·실업부조 등으로 실직자의 소득을 지원하는 방식의 소극적 노동시장 정책도 오히려 실업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직자 소득지원 지출 규모가 GDP 대비 0.1%포인트 증가하면 실업률은 약 0.44~0.48%포인트, 장기실업률은 약 0.27~0.29%포인트 증가했다.

유진성 한경연 선임연구위원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세부항목 가운데에서 고용 인센티브나 직업훈련 프로그램은 실업률 감소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출규모도 OECD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난 만큼, 해당 분야에 대한 정책을 확대·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상범 기자 ksb1231@kyunghyang.com

▶ 백래시의 소음에서 ‘반 걸음’ 여성들의 이야기 공간
▶ 이태원 참사 책임자들 10시간 동안의 타임라인 공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