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둔화 본격화에 시장전망 암울
취약층 정부 일자리사업 조기집행
내년 고용시장에 역대급 ‘한파’가 분다. 올해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소비가 되살아나면서 일자리수요 확대, 비대면·디지털 전환 수요 등으로 이례적인 증가폭을 보였지만, 내년엔 본격적인 경기둔화에 기저효과까지 겹쳐 취업자 증가폭이 급감할 것이란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발등에 불이 떨어진 정부는 내년 일자리 발굴을 위해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 중심의 범정부 추진체계를 꾸렸다. ‘세금 일자리’에 부정적이던 윤석열 정부는 연초 동절기 취약계층 소득 안정을 위해 내년 예산 통과 즉시 정부 일자리 사업 집행에 나선다.
고용부와 기재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합동 ‘일자리 TF’ 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TF엔 보건복지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등도 참여한다. TF에는 방기선 기재부 1차관, 권기섭 고용부 차관 공동주재로 관계부처 1급이 참여하며 매월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재부 차관보, 고용부 고용정책실장 공동주재 실무회의도 수시로 개최할 예정이다. 정경훈 고용부 노동시장정책관은 “이번 TF는 내년 경제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고용지표 둔화가 예상됨에 따라 고용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선제적인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범정부 추진체계를 구축해 일자리 과제 발굴에 나선 것은 그만큼 내년 고용시장 상황이 어렵기 때문이다. 정부가 내놓은 취업자 증가폭 전망치는 10만명 가량이다. 이는 올해 81만명 대비 71만명(-87.6%) 급감한 수치다. 하지만 한국은행이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노동연구원 등이 내놓은 내년 취업자 전망치는 각각 9만명, 8만명, 8만9000명으로 이보다 더 우울하다. 한은 전망 기준으로 올해 취업자 수 증가가 82만명이란 것을 감안하면 올해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하는 셈이다.
범정부 일자리TF는 고용지표 모니터링 및 일자리 분야 과제 지속 발굴·보완, 부처별 일자리사업 등 추진실적 점검 후 내년 1월 중에 민간·지역 중심 일자리 창출과 고용취약계층 노동시장 진입 촉진을 위한 ‘고용정책 기본계획’ 등 대책을 발표한다.
김용훈 기자
fact0514@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