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가스값 인상에 초교 1년 난방비만 1억..경기도교육청 추가지원 검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교육용 전기·가스요금 전년대비 33.1%, 38.01% 인상

수원 A초교 난방비 전년 8000만원서 올해 1억 예상

도교육청 추경 통해 학교운영비 추가지원 검토

이데일리

경기도교육청 남부청사 전경.(사진=경기도교육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경기도교육청이 최근 급격한 공공요금 인상으로 겨울철 난방비 부담이 높아진 일선 학교 운영비를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6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KEPCO)와 삼천리 도시가스에서 안내하는 교육용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단가를 바탕으로 인상률을 조사한 결과, 올해 1월 기준 교육용 전기요금은 전년 대비 33.1%, 가스요금은 38.01%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도교육청은 2022학년도 공·사립 각급학교의 전기요금과 가스요금으로 1358억 원을 집행했다.

하지만 올해 1월 기준 인상률 적용 시 추가로 497억 원이 필요한 것으로 집계돼 학교의 공공요금 지출 부담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우려되는 상황이다.

실제 가스히트펌프(GHP) 냉난방기 비중이 높은 수원 A초등학교는 지난해 가스요금으로 8023만6670원을 납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단가를 적용할 때 전년 수준으로 사용하더라도 가스요금으로만 1억 원 이상의 비용 지출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교육청은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학교 재정 여건 악화를 예방하고, 학교 냉·난방비 지출 부담 완화로 원활한 교육활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통해 학교운영비를 추가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서혜정 도교육청 정책기획관은“에너지 절약도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학교가 공공요금 단가 인상으로 냉·난방비 예산이 부족해 교육활동에 어려움을 겪어서는 안 될 것”이라며 “학생들에게 쾌적한 수업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공공요금 인상분에 따른 학교운영비 증액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