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김태열의 생생건강S펜] "손발 떨리거나 보폭 짧아지면 '파킨슨병' 의심해보세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파킨슨병 환자는 2017년 10만 명에서 2021년 11만 7천 명으로 5년간 환자가 약 16% 증가했다. 파킨슨병은 완치법이 개발되지 않았지만 다른 뇌질환에 비해 약물 치료 효과가 뛰어나 일상생활, 사회생활, 직장생활을 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뇌과학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 중인 뇌질환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신약이 개발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건강의학 선임기자] 매년 4월 11일은 파킨슨병에 대한 관심을 확대하고자 제정된 ‘세계 파킨슨병의 날’이다. 영국 의사 제임스 파킨슨이 1817년 학계에 최초로 병을 보고한 것을 기념해, 그의 생일인 4월 11일을 세계 파킨슨병의 날로 제정했다.

파킨슨병은 3대 노인성 뇌질환 중 하나로, 치매 다음으로 흔한 대표적인 퇴행성 뇌 질환이다.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발병도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실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파킨슨병 환자는 2017년 10만 명에서 2021년 11만 7천 명으로 5년간 환자가 약 16% 증가한 것으로 알 수 있다.

파킨슨병이 발병하면 몸이 경직되고, 떨리고, 뻣뻣해지고, 느려지고, 자세가 불안정해진다. 신체적 증상 외에도 수면장애, 정신기능 이상, 감각 이상 등이 동반될 수 있어 삶의 질이 떨어질 수 있다. 파킨슨병은 완치법이 개발되지 않았지만 다른 뇌질환에 비해 약물 치료 효과가 뛰어나 일상생활, 사회생활, 직장생활을 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뇌과학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게 연구 중인 뇌질환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신약이 개발되고 있어 ‘희망적인 병’이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다. 4월 11일 세계 파킨슨병의 날을 맞아 신경과 정선주 교수와 함께 파킨슨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파킨슨병이란? 뇌의 도파민성 신경세포 등의 소실로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파킨슨병은 뇌의 도파민성 신경세포를 비롯한 다양한 신경세포의 소실로 발생하는 퇴행성 뇌질환이다. 이전에는 파킨슨병의 증상이 단순히 떨리거나 잘 걷지 못하는 질환으로만 인식되었으나 이 질환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안정된 자세에서 신체의 일부가 떨리는 증상인 떨림, 몸의 움직임이 느려지는 서동, 근육이 굳어지는 경직, 다리를 끌면서 걷게 되는 보행장애, 자세가 구부정해지면서 쉽게 넘어지는 자세 불안정 등과 같은 운동 증상이 환자마다 다른 조합으로 나타난다.

이와 더불어 환자들과 가족을 더 힘들게 하는 증상은 치매, 불안, 우울, 환시, 수면장애(불면증, 잠꼬대), 빈뇨, 변비, 피로, 자율신경장애(기립성저혈압, 성기능장애, 땀분비이상) 등 눈에 띄지 않는 비운동 증상들이다. 파킨슨병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느껴지거나 지적을 받는다면 파킨슨병을 전문으로 하는 신경과 의사의 진료를 빨리 받는 것이 현명하다. 적절한 약물치료, 수술로 직장생활이나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을 정도로 호전된다.

▶파킨슨병 원인, 계속 늘어나는 이유는? 고령 인구 증가로 환자 꾸준히 증가=국내에서는 파킨슨병 환자가 계속해서 늘고 있다.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파킨슨병 환자가 2017년 10만 716명에서 2021년 11만 6,504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파킨슨병이 노화와 관련해 발생하는 대표적 퇴행성 뇌질환인 만큼, 인구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 증가로 파킨슨병 환자 수도 꾸준히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50대 이하 중년에게서도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고, 20~30대에서도 종종 발견되고 있다. 젊은 나이대라도 증상이 보일 경우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왜 파킨슨병이 발병하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제초제나 살충제와 같은 농약 성분, 이산화질소와 같은 대기오염물질 등 환경적 인자가 파킨슨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 모든 환자에게 적용할 만큼 확실하진 않다. 또한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되지만,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서 발생하는 파킨슨병 환자는 전체 환자의 약 5% 이내인 가족형 파킨슨병 환자의 발생만 설명할 수 있다. 최근에는 유전체 게놈(genome) 연구를 통해 유전자 변형의 원인적 역할을 규명하고, 환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 치료제 개발을 위해 전 세계의 의과학자들이 노력 중이다.

▶파킨슨병 환자 완치법은? 약물치료, 수술로 눈에 띄게 증상 호전 가능=파킨슨병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더디게 할 수 있는 치료제는 개발되지 않았다. 파킨슨병이 진단되면 뇌에서 부족한 도파민을 대신할 수 있는 다양한 약물로 치료하거나 수술을 하고 있다.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은 퇴행성 뇌질환 중에서 약물치료에 의해 증상이 눈에 띄게 호전되는 질환은 파킨슨병 외에는 없다.

최근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동호회에서 파킨슨병 약물은 되도록 늦게 복용하는 것이 좋다는 글을 읽고 약물 복용을 꺼리면서 운동이나 한방 요법에 의존하는 환자들이 있는데 매우 잘못된 치료법이다. 뇌에서 도파민이 지속적으로 부족할 경우, 뇌 운동 회로를 포함한 연결 기능들의 장애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약의 부작용이 걱정되어 약물을 복용하지 않고 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담당 의사의 처방에 따라 파킨슨병 약물의 용량과 용법을 철저하게 지켜 복용한다면 일어나지 못하는 환자가 걸을 수 있게 되고, 잘 걷지 못하는 환자가 뛸 수 있게 된다.

오랜 약물치료로 약물에 대한 효과가 감소되고 후기 운동 합병증이 심할 경우에는 뇌심부자극 수술을 시행한다. 뇌심부자극술은 기계를 피하조직에 장착하고 뇌의 깊숙한 곳에 위치한 담창구나 시상하핵에 전기자극을 줘서 운동 증상을 개선시키는 치료법이다. 뇌심부자극술도 뇌수술이기 때문에 수술을 받을 수 있을 만큼 건강상태가 좋아야 하고, 나이가 너무 고령이면 할 수 없기 때문에 보통 75세 이전에 시행한다. 뇌심부자극술은 전반적으로 파킨슨병 운동 증상과 운동 합병증을 75% 정도 향상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환자가 안전하게 수술을 받을 경우 삶의 질이 많이 호전될 수 있다.

헤럴드경제

▶ 매일 스트레칭, 유산소 1~2시간 꾸준히 운동하기=파킨슨병 환자에게 운동은 매우 중요하다. 파킨슨병의 증상으로 몸의 근육들이 경직되고 근육의 움직임이 느려지며, 자세가 구부정해지기 때문에 스트레칭 체조와 유산소 운동을 매일 1~2시간 하는 것이 매우 도움이 된다. 근력 운동을 같이 하면 더 큰 효과가 기대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혼자서 운동을 하면 지루해질 수 있기 때문에 가족과 같이 운동하는 것이 재미도 있으며 꾸준히 할 수 있는 비결이 될 수 있다. 운동은 근육들이 어느 정도 활동이 익숙해지는 낮 (오전 10시~오후 3시경) 동안 하는 것이 좋은데, 햇빛을 적절하게 쐬면서 운동을 하면 골다공증 예방과 우울 증상, 수면장애 개선 등에 도움이 된다. 등산을 좋아하는 환자는 주의가 필요한데, 파킨슨병 환자는 몸의 중심이 앞으로 쏠리는 증상이 있고 종종걸음 현상과 자세불안증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산을 오를 때보다 내려올 때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높은 산은 피하는 것이 좋다.

▶ 비타민, 섬유질 풍부한 식단으로 철저하게 영양 관리하기=파킨슨병 환자는 피곤하고 힘이 빠지고 기운이 없는 증상이 특징이기 때문에 영양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다. 뇌에 좋은 비타민 C, E가 많이 포함된 사과, 딸기, 귤, 오렌지, 키위 등의 과일과 양배추, 브로콜리, 녹색 채소 등을 많이 먹어야 한다. 견과류도 적절하게 먹는 것이 좋다.

단백질 섭취를 위해 기름을 제거한 양질의 닭가슴살이나 쇠고기 등도 적절하게 섭취하는 것이 좋다. 다만 단백질은 파킨슨병 치료제인 레보도파 약효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고기를 먹을 때는 레보도파 복용시간과 최소 1시간 이상 시간 간격을 두고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또한 파킨슨병 환자들이 겪는 심각한 증상인 변비를 해결하기 위해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하루 1.5리터 정도의 물을 낮 동안 수시로 마시는 것도 도움이 된다.

헤럴드경제

▶ 수면 환경 개선 필요, 심한 렘수면장애는 약물 복용하기=수면장애도 파킨슨병 환자를 괴롭히는 대표적인 증상이다. 불면증을 해결하기 위해 수면 환경의 개선이 필요한데, 낮 동안 적당량의 햇빛을 쐬는 것이 좋고 수면 2~3시간 전이나 오후 8시 이후에는 TV시청이나 휴대폰, 인터넷 사용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저녁에 미지근한 물로 샤워를 한 후 따뜻한 차를 한 잔하며, 독서나 조용한 클래식 음악을 청취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렘수면장애는 많은 파킨슨병 환자와 배우자가 괴로워하는 증상인데, 잠을 자면서 혼자 중얼거리거나 고함을 지르기도 하며 헛손질을 하면서 옆에서 자는 배우자를 팔이나 다리로 때리기도 한다. 심한 환자는 자다가 일어나 속옷 차림으로 집 밖을 배회하며 남의 집 초인종을 누르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파킨슨병으로 인해 뇌의 여러 가지 신경세포의 소실 때문에 나타나는 증상으로, 증상이 심할 경우 담당 의사와 자세히 상담한 후 약물 복용이 필요하다.

파킨슨병 환자는 운동 증상과 비운동 증상을 매우 다양하게 호소하기 때문에, 약물에만 의존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일상생활의 개선을 가져오기 위해 노력한다면 보다 나은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고 파킨슨병으로 인한 고통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파킨슨병을 의심할 수 있는 증상들]

- 침대나 의자에서 일어날 때 힘들다.

- 글씨의 크기가 전에 비해 작아졌다.

- 주위 사람들이 목소리가 작아지거나 약해졌다고 말한다.

- 걷거나 서 있을 때 비틀거리거나 넘어지려는 경향이 있다.

- 걸을 때 발이 땅에서 잘 안 떨어지고 부자연스러운 것을 느낀다.

- 주위 사람들이 얼굴의 표정이 전에 비해 굳어있다고 말한다.

- 손이나 발을 떠는 증상이 있다.

- 손으로 단추를 잠그는 것이 힘들다.

- 걸을 때 발을 끌면서 걷거나 보폭이 짧아지면서 종종 걸음을 걷는다.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자가운동법]

▷운동법

1. 고개 돌리기= 한쪽으로 고개를 돌린 후 손으로 뺨을 지그시 누른다. 반대쪽도 실시. (10초씩 10회)

2. 목 굽히기=손으로 한쪽 머리를 지그시 누른다. 반대쪽도 실시. (10초씩 10회)

3. 머리 젖히기=머리를 뒤로 최대한 젖힌다. (10초씩 10회)

4. 몸통 굽히기=손을 머리 위로 넘겨 옆구리를 늘려준다. 반대쪽도 실시. (10초씩 10회)

5. 어깨 으쓱하기=양쪽 어깨를 최대한 위로 올려 으쓱한다. 10초간 힘을 주어 유지하고 힘을 뺀다.

6. 몸통 세우기=상체를 수그린 자세에서 몸을 바로 세우고 가슴을 편다. (5~10분)

7. 상체 확장하기=머리를 아래로 당겨 뒷목을 늘인다. 머리를 뒤로 젖히며 가슴을 편다. (30초씩 5회)

8. 몸통 들어올리기=발은 땅바닥에 댄 채 팔꿈치를 피면서 상체를 들어올린다. (10초씩 10회)

▷운동 시간 : 30~40분씩 하루에 2~3회 반복 시행한다.

▷운동 횟수 : 한 동작당 5~10회 반복한다.

▷유의 사항

-운동을 처음 시작할 때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동작을 천천히 하되, 반동이나 급작스러운 움직임에 주의하여 실시한다.

-큰 근육이 충분히 이완되도록 편안한 자세를 최대한 유지한다.

-힘들다고 숨을 멈추지 말고, 자연스럽게 호흡을 유지한다.

kty@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