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오세훈 “문자 오발령 아니었다고 판단”에 고민정 “실무자 탓하며 꼬리 자르기”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시민 생명·안전 행정의 최종 책임자는 서울시장 아닌가”

오세훈 서울시장, 위급재난문자 오발령 논란에 “혼선 빚어 죄송하다”

세계일보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31일 오세훈 서울시장의 북한 발사체 관련 ‘경계경보’ 위급재난문자 오발령 논란 입장에 “현장 실무자의 과잉 대응탓을 하며 꼬리를 자르는 건가”라고 따져 물었다.

고 최고위원은 이날 오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오 시장 브리핑 기사를 공유한 뒤, “서울시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한 행정의 최종 책임자는 서울시장 아닌가”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고 최고위원은 “‘무한책임을 느낀다’면서도 정작 ‘서울시가 안전관리 의무는 지지 않는다’고 해 많은 이의 분통을 터뜨리게 했던 이태원 참사 당시 태도와 무엇이 다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오 시장은 같은 날 오후 서울시청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어 시의 경계경보 위급재난문자 발령 논란에 “혼선을 빚어 죄송하다”면서도 “오발령은 아니었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경위를 파악해보니 북한이 통상 동해로 발사하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남쪽으로 발사한 상황에서 1000만 시민의 안전을 책임져야 하는 서울시로서는 즉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경보를 발령했다”고 설명했다.

오 시장은 그러면서 “안전에는 타협이 있을 수 없고 과잉이라고 할 정도로 대응하는 게 원칙”이라며, “신속하고 정확한 안내를 위해 경고체계와 안내문구를 더욱 다듬고 정부와 협의해 발전시켜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세계일보

오세훈 서울시장이 31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 발사 관련 서울시가 발송한 ‘경계경보’ 위급재난 문자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는 이날 오전 6시41분쯤 “오늘 6시32분 서울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위급재난 문자를 발송했다.

하지만 어떤 이유로 경계경보가 발령됐는지, 어느 곳으로 대피해야 하는지 등이 구체적으로 없어 시민들은 어리둥절했다.

이어 행정안전부가 22분 뒤인 오전 7시3분에 ‘06:41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림’이라는 문자로 시의 경계경보 발령을 정정하면서 논란은 크게 확산했다.

오발령 여부를 떠나 신속·정확성을 모두 놓쳐 실제였다면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을 거라는 거센 비판 등에 부딪힌 시는 일련 규정과 절차를 거쳐 발송하다 보니 다소 시간이 걸렸다고 입장을 밝혔다.

‘행안부 지령방송 수신(6시30분)→서울시 민방위경보통제소의 확인 전화→통화 실패→자체 경계경보 발령(6시32분)→위급재난 문자 시스템 등록→서울시 승인→문자발송(6시41분)’ 과정을 거치느라 발령시각보다 9분 늦었다는 설명이다.

문자 형식과 내용의 부실 지적에는 ‘재난문자방송 기준 및 운영규정’에 따라 메시지를 작성했다고 강조했다.

행안부의 가이드라인 ‘재난문자방송 기준 및 운영규정’ 상 경계경보 표준문안에 따르면 경계경보와 공습경보 여부에 따라 내용을 달리하는데, ‘오늘 ○○시 ○○지역에 경계경보 발령.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경계경보 문안을 활용하되 재난 상황에 맞는 내용으로 수정할 수 있다면서다.

경계경보에 따른 문안은 ‘대피 준비’를 안내하는 것이고, 공급경보에 따른 문안은 ‘지하 또는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라는 안내다.

시의 문자는 ‘경계경보’에 따른 문안 활용이라는 해명인데, 이를 일일이 알 수 없는 시민 입장에서는 구체성이 떨어지는 정보에 무척 당황할 수밖에 없어 보였다.

김동환 기자 kimcharr@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