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난민과 국제사회

스페인 가려던 아프리카 난민, 해상에서 최소 300명 사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리비아의 독재자 카다피가 서방에 의해 제거된 이후 무주공산이 된 리비아 국경을 통해 사하라 이남 난민들이 대거 유럽으로 향하는 보트피플이 됐다. 일명 지중해 난민으로 불리는 이들은 이탈리아 시칠리아와 프랑스 마르세유, 스페인 남부 등을 목표로 한다. 사진은 지난해 8월 11일 이탈리아 람피두사섬 앞바다에서 타고 있던 목선이 뒤집히면서 난민들이 가까스로 배를 붙잡고 구조요청하는 모습.[AP]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이민경 기자]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 인근 해상에서 최소 300명의 이주민이 실종됐다고 로이터 통신이 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구호단체 ‘워킹 보더스’는 세 척의 보트에 타고 세네갈에서 스페인 카나리아 제도로 향하던 이주민 최소 300명이 실종됐다고 이날 전했다.

워킹 보더스에 따르면 65명과 50∼60명을 따로 태운 보트 두 척이 스페인으로 가기 위해 세네갈을 떠난 뒤 실종 15일째며, 지난달 27일 약 200명을 태우고 출발한 세번째 배 역시 행방을 못 찾고 있다.

보트 세 척은 모두 카나리아 제도의 테네리페에서 약 1700㎞ 떨어진 세네갈 남부 카푼틴에서 출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워킹 보더스의 엘레나 말레노는 보트에 탑승한 사람들의 가족들이 배가 떠난 뒤 연락이 닿지 않아 걱정하고 있다며 “이들은 세네갈의 불안정한 상황 때문에 떠났다”고 전했다.

최근 지중해를 가로지르는 경로에서 불법 이주 단속이 강화하면서 서아프리카를 출발해 대서양을 건너 카나리아 제도로 가는 경로로 이주민이 몰리고 있으나 대서양의 물살이 강해 위험하기로 악명이 높다.

국제이주기구(IOM)에 따르면 지난해 카나리아 제도로 가려던 이주민 가운데 최소 559명이 숨졌으며 이 중 22명은 어린이였다.

같은날 북아프리카 튀니지에서 이탈리아로 가기 위해 출항한 불법 이민선이 침몰하면서 1명이 사망하고 11명이 실종되는 사고도 발생했다.

이탈리아 남부와 가까운 튀니지는 불법 이민선을 타고 유럽으로 가려는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서 온 이민자들이 출발지로 삼는 곳이다. 가장 많이 이용하던 리비아가 최근 이민자 단속이 심해지면서 튀니지를 대안으로 삼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튀니지 당국은 최근 이주민들을 리비아 국경지대 사막 등으로 강제 격리해 논란을 빚었다. 유럽 국가들은 유럽 대륙으로 넘어오려는 이민자들을 막아달라고 튀니지 정부를 압박하고 있다.

think@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