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9월부터 부모가 미성년 자녀통장을 비대면 방식으로 개설할 수 있도록 했다. 하나·우리은행도 지난 7월부터 가능해졌다. 기존에는 미성년 자녀의 계좌를 개설하려면 부모가 은행 영업점을 방문해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등 필요서류를 제출해야만 했다. 지난 4월 금융위원회가 ‘비대면 실명확인 가이드라인’을 개편하면서 비대면 자녀 계좌 개설이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김영희 디자이너 |
임산부나 영·유아 고객을 겨냥한 서비스도 늘고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 3월 ‘태아 미리 등록 서비스’를 출시했다. 임신중 태아 정보를 미리 등록하고 출생 후 자녀 계좌를 개설하면 입출금 통장 바우처 3만원, 청약 통장 바우처 2만원 등 최대 5만원을 지급한다. 하나은행은 지난 4월 야탑역금융센터 지점에 영유아 전용 수유실과 임산부 휴게실이 있는 ‘하나 맘케어 센터’ 1호점을 열었다. 지난달 수유역금융센터에 2호점을 여는 등 점차 늘려간다는 계획이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잘파세대(Z세대+알파세대)의 금융생활’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이후 태어나 알파세대라고 불리는 초등학교 4~6학년생 10명 중 6명(61%)은 첫 금융거래를 할 때 부모와 같은 시중은행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Z세대(1990년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로 분류되는 중·고등학생은 부모보다 또래 집단의 영향을 더 받으면서 선호하는 금융회사가 달라졌다. 처음 거래를 시작한 곳이 인터넷전문은행이나 청소년 특화 어플리케이션인 유스앱이라는 응답이 46.2%로 시중은행(47.8%)과 비슷했다.
인터넷은행들이 선제적으로 내놓은 청소년 전용 용돈관리 서비스나 선불 충전카드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선불 충전카드는 계좌가 없어도 쉽게 만들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다. 대부분 일 50만원·월 200만원 한도 내에서 온·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하고, 교통카드로도 쓸 수 있다.
김영희 디자이너 |
카카오뱅크는 2020년 10월 충전된 금액만큼 모바일 간편 결제나 카드 결제가 가능한 ‘미니’ 서비스를 출시했는데 3년 만에 가입자가 180만 명(지난 6월 말 기준)을 돌파했다. 그러자 지난 25일부터는 기존 가입 대상을 만 14세~18세에서 만 7세 이상으로 확대했다. 토스도 2021년 12월 만 7세~16세를 대상으로 ‘유스카드’ 서비스를 내놨다. 초등학교 1학년생도 쓸 수 있는 최초의 카드란 점에서 주목을 받았고, 지난 6월 말 기준 116만 장 이상이 발급됐다. 케이뱅크도 지난해 12월 ‘하이틴카드’를 출시했다.
카카오뱅크에 맞서기 위해 시중은행들도 ‘아이부자(하나은행)’ ‘리브 넥스트(KB국민은행)’와 같은 청소년 전용 금융 앱을 출시하고 각종 금융 혜택을 늘려가고 있다. 아이부자는 2021년 6월 출시 후 2년 만에 가입자 수 110만 명을 돌파했다. 황선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미래 고객을 확보하기 위해선 알파부터 Z세대까지 시기별 변화 관리로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