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삼성전자, ‘갤럭시 스마트태그2′ 공개… 위치 확인 기능 향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전자는 향상된 위치 확인 기능을 제공하는 ‘갤럭시 스마트태그2′를 5일 공개했다.

갤럭시 스마트태그2는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이 추가됐다.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귀중품을 보다 직관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분실 모드’와 ‘컴퍼스 뷰 모드’를 지원한다. 또 배터리 절전 모드, IP67 방수·방진 기능 등 강화된 사용자 편의 기능도 제공한다.

갤럭시 스마트태그2를 사용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스마트싱스’ 애플리케이션(앱)을 설치하고 기기를 등록하면 된다. 스마트폰 한대당 여러 개의 스마트태그를 등록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신제품의 분실 모드를 통해 자신의 연락처와 메시지를 기기에 입력해 놓을 수 있으며, 습득자는 NFC 판독기와 웹브라우저가 있는 모든 장치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갤럭시 스마트태그2가 부착된 반려동물이나 귀중품 등을 누군가 발견하게 되면 NFC 지원 스마트폰으로 스캔해 소유자의 연락처와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컴퍼스 뷰 모드는 갤럭시 스마트태그2의 현재 위치의 방향과 거리를 스마트폰에 설치된 스마트싱스 앱 내 ‘스마트싱스 파인드’ 서비스를 통해 쉽고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화살표와 숫자 표기로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다. ‘컴퍼스 뷰’ 모드는 갤럭시 S23 울트라 등 UWB(초광대역)를 지원하는 모든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파인드’ 서비스도 업그레이드했다. 기존 대비 스마트폰 화면 내 지도가 보이는 영역을 넓혀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 경험을 높였다. 스마트폰을 교체할 경우 스마트태그를 다시 동기화 할 필요가 없으며, 로그인하는 장치와 상관없이 삼성 계정과 자동으로 동기화 작업을 수행한다.

갤럭시 스마트태그2는 사용자에게 더 오랜 사용성을 지원하는 절전 모드를 새롭게 제공해 배터리 수명을 오랫동안 유지하면서 사용자 물건의 위치를 지속해서 파악할 수 있다.

갤럭시 스마트태그2의 배터리는 절전 모드에서 전작 스마트태그+ 대비 4배 이상 긴 700일까지 수명이 지속되며, 일반 모드에서도 배터리 수명이 500일까지 지원된다. 이는 전작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사용자는 두 가지 모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어 배터리 방전 걱정없이 오랫동안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갤럭시 스마트태그2의 링 디자인과 작은 크기는 사용자의 휴대성과 편의성을 염두에 두고 기획됐다. 메탈링 디자인 내측에는 금속 재질이 적용돼 제품 내구성이 한층 강화됐으며 실외 사용 환경을 고려해 IP67 등급의 방수·방진을 제공한다. 또 키링과 같은 다양한 액세서리를 함께 사용할 수 있어 가방이나 반려동물의 목줄 등에도 보다 편리하게 부착이 가능해졌다. 스마트싱스 펫 케어 앱을 활용하면, 반려 동물들의 산책 기록도 확인할 수 있다.

갤럭시 스마트태그2는 ‘삼성 녹스(Knox)’로 보호돼 강력한 보안 기능도 제공한다. 사용자의 동의없이 위치 확인이 불가능하며, 사용자 데이터는 모두 암호화 돼 삼성 녹스로 보호받는다. 또 ‘분실 모드’를 비활성화하면 ‘소유자’의 연락처와 메시지가 즉시 가려지고 확인이 불가능 해 진다.

스마트싱스 파인드의 ‘알 수 없는 태그 알림’ 기능을 통해 한층 강화된 보안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스마트싱스 파인드’ 앱이 알 수 없는 스마트태그를 감지하면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알림을 보내 무단 추적을 경고하는 등 위치 추적 서비스의 남용을 방지할 수 있게 했다. 갤럭시 스마트태그2는 10월 11일부터 전세계에 순차 출시된다. 국내 출시 일자와 가격은 확정 시 공개될 예정이다.

정재연 삼성전자 디바이스플랫폼센터 부사장은 “삼성전자는 업계를 선도하는 혁신을 통해 사용자의 일상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개선하는 방안을 지속 고민하고 있다”며 “갤럭시 스마트태그2는 사용자가 보다 쉽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소지품을 찾을 수 있도록 더 많은 옵션과 향상된 사용성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김민국 기자(mansa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