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공공요금 인상 파장

소비자물가-체감물가差 7개월만 최대... 유가·공공요금 불안 요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구윤성 기자 = 5일 서울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99(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3.7% 상승했다. 이는 지난 4월(3.7%)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2023.10.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와 생활물가 상승률 격차가 7개월 만에 최대로 벌어졌다. 국민들이 직접 체감하는 공공요금·식품 등 가격이 크게 뛰면서 전체 물가와의 괴리감이 커진 것이다.

문제는 민생 물가의 안정을 장담할 수 없다는 점이다. 국제유가 변동성이 여전한 데다 지하철 요금, 유제품 가격 인상 등이 겹쳤기 때문이다. 정부의 4분기 전기요금 인상 결정 여부도 변수로 지목된다.

7일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생활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 대비 4.4%다. 생활물가 상승폭은 올해 1월 6.1%에서 7월 1.8%까지 줄었지만 8월(3.9%)부터 두 달 연속 확대됐다.

이른바 체감물가를 불리는 생활물가는 대체로 국민 실생활과 밀접한 144개 품목이 포함된다.

지난달 생활물가 상승률은 전체 물가 품목을 아우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3.7%)을 0.7%포인트(p) 웃돌았다. 이로써 두 지표 간 격차는 지난 2월(0.7%p) 이후 최대로 벌어졌다. 소비자들이 직접 피부로 느끼는 물가와 전체 물가의 괴리가 그만큼 커졌다는 얘기다.

9월 생활물가의 경우 △사과 54.8% △전기료 20.3% △택시료 20.0% △소금 17.3% △쌀 14.5% △피자 12.3% 등에서 가격이 크게 뛰었다. 여타 품목에서 물가가 안정됐더라도 △공공요금 △식품 △외식 가격 등이 오르면 소비자들은 가격변동을 보다 민감하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머니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제는 앞으로도 체감물가를 자극할 요인이 적잖다는 점이다. 우선 기름값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국제유가의 변동성이 변수다. 유가는 지난달 내내 연고점 수준인 배럴당 90달러에서 움직였다. 이달 들어 유가가 80달러대로 둔화됐더라도 앞선 유가 상승분은 한 달 정도 시차를 두고 국내 기름값에 지속 반영된다.

정부도 각별히 신경 쓰는 모습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전날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석유류는 국제유가 대비 과도한 인상이 없도록 업계 협력과 현장점검을 강화하겠다"며 "서민 부담 완화를 위해 동절기 난방비 대책을 이달 중 선제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년동월 대비 20% 안팎의 전기요금 오름폭이 더욱 커질 수 있는 셈이다. 산업부는 물가당국인 기재부와 4분기 요금 조정 검토에 들어갔지만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기재부는 국민들의 전기료 부담을 고려해 인상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 한국전력 등 에너지 공기업의 재무 상황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최근 수도권 지하철, 일부 지역의 버스요금 인상도 이어지는 상황이다. 서울과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7일부터 1250원에서 1400원(교통카드 기준)으로 150원 인상된다. 또 이와 연동되는 인천 일반버스 요금도 같은 수준으로 오른다.

이 밖에 먹거리 가격도 오름세다. 최근 원유 가격이 리터당 88원(8.8%) 인상되면서 서울우유, 매일우유, 남양유업 등 유제품 가격이 올랐다. 7일부터는 오비맥주의 카스, 한맥 등 맥주 제품 출고가도 평균 6.9% 인상된다.

이로써 정부의 연간 3.3% 물가상승률 목표 달성은 불확실해졌다. 추 부총리는 전날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10월, 11월에 가면 (물가상승률이 전년동월 대비) 3% 초반대로 안정되고 연말로 가면 3% 전후로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면서 "최근 8월·9월 물가가 3.4%·3.7% 올라서 연간 3.3%(상승률이) 가능할지 (이보다) 높을지는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세종=유재희 기자 ryuj@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