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천태만상 가짜뉴스

나이 들수록 가짜뉴스에 취약…40세부터 '이 역량' 뚝 떨어진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가짜뉴스와 팩트. 사진 프리픽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인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가장 뛰어난 세대는 30대이고, 이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비판적 이해 능력이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군산대 미디어문화학과 고흥석 교수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의 지역 격차' 연구 결과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역량은 30대가 3.23으로 가장 높았고, 20대가 3.21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40대(3.10), 50대(3.00), 60대(2.68) 순이었다. 70대 이상은 1.99로 가장 낮았다.

고 교수는 지난해 '한국미디어패널' 조사 데이터 중 19세 이상 응답자 9057명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이해 역량은 '사실인지 아닌지 살펴본다',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는지 살펴본다', '상업적 의도를 담고 있는지 판단해본다', '정치적 의도를 담고 있는지 판단해본다', '관련해서 다양한 입장들을 알아보기 위해 추가 정보를 찾아본다' 등 5개 문항을 1∼5점 척도로 측정해 그 평균값을 분석에 활용했다.

성별로 비교하면 남성(2.91)이 여성(2.74)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고, 교육 수준도 학력이 높을수록 비판적 이해 역량이 높았다. 대학원 재학 이상이 3.47, 대졸 이상이 3.18, 고졸 이상이 2.83, 중졸이 2.21, 초졸이 1.83으로 각각 집계됐다.

소득에 따라 분류하면 월평균 개인 소득 400만원 이상 집단이 3.27로 가장 높았고 300만∼400만원 집단(3.13)과 200만∼300만원 집단(3.07)은 거의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미디어의 비판적 이해 역량이 가장 떨어지는 집단은 월 100만∼200만원(2.13)으로 100만원 미만(2.69)이나 소득이 없는 집단(2.73)보다 낮았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3.07로 가장 높았고 경기(2.94), 광역·특별자치시(2.90), 지역(2.53)의 순으로 조사됐다.

또 성별, 연령에 따른 비판적 이해 역량의 차이는 서울, 경기 이외 지역에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고 고 교수는 설명했다.

정혜정 기자 jeong.hyejeong@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