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이슈 한미연합과 주한미군

한미일 안보실장 “불법 외화벌이 차단”…신원식 “참수작전 훈련 공개 고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8일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직후 한·미·일 3국은 지난 8월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에서 합의된 ‘협의에 대한 공약’에 따라 신속한 논의를 진행했다.

3국은 조태용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보국장 간 협의에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의 협력, 대북 독자·다자 제재 공조, 군사 분야 공동 대응, 북한 악성 사이버 활동 대응, 불법 외화벌이 차단 등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이날 언론 인터뷰에서 “참수작전 훈련을 공개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옵션으로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신 장관은 이어 “오늘 주한미군 홈페이지에 한·미 특수전 부대 훈련이 공개됐다”고 덧붙였다. 전략자산 전개에 대해서도 “(미 측과) 수일 이내로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확성기 등 대북 심리전을 조만간 재개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현재 비무장지대(DMZ) 내 확성기는 2018년 4월 판문점 선언에 따라 철거됐지만, 언제든 다시 설치할 수 있도록 시설 점검을 완료했다고 한다.

반면에 중국은 오히려 한·미·일 안보협력을 정세 악화의 원인으로 돌렸다. 왕원빈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군사적 억제력을 통한 압박은 통하지 않으며 역효과를 내고 갈등을 더욱 격화시키며 긴장을 고조시킬 뿐”이라고 말했다.

중국을 방문 중인 박명호 북한 외무성 부상은 이날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과 회담했다. 왕 부장은 “중국과 조선은 항상 서로를 지지하고 신뢰했으며 우호 협력의 전략적 의미를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박현주 기자 park.hyunju@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