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인공지능 시대가 열린다

“니 내 누군지 아니”…SKB Btv 초개인화 AI 포털로 진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김성수 SK브로드밴드 Customer사업부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내가 누구인지 TV가 자동으로 알아보고, 나에게 딱 맞는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SK브로드밴드 B tv가 나와 콘텐츠를 잘 아는 초개인화된 인공지능(AI) B tv라는 슬로건을 내걸며 새로운 시작을 알렸다. 초개인화 시대의 흐름을 타고 유료방송 시장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SK브로드밴드는 20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B tv 서비스 전반에 AI를 적용했다고 밝혔다. TV를 보는 이용자를 자동으로 인식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자동개인식별 기능을 구현했다. TV 속 출연진 옷과 악세서리 정보를 AI로 확인해 바로 구매까지 할 수 있는 AI 쇼핑 서비스도 시작했다.

전자신문

SKT AI 피라미드 전략과 연계한 Btv 사업전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TV가 시청자 알아보고 맞춤 화면…TV 속 연예인 옷 바로 구매

SK브로드밴드는 B tv에 AI를 기반으로 이용자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모바일 B tv와 연계해 초개인화 서비스를 확대했다.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프로필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자동개인식별 기능을 제공, 초개인화된 홈화면을 구현한다. 현재는 안드로이드 운용체계(OS)만 가능하다. iOS는 추후 제공 예정이다. 개인별 프로필 자동 감지 기능을 원치 않을 경우 모바일 B tv에서 프로필 잠금 설정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AI 쇼핑 서비스도 선보였다. SK브로드밴드는 드라마와 예능 VOD 콘텐츠에 노출되는 다양한 제품 정보를 AI로 추출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제품에 대한 설명부터 구매까지 자연스럽게 이뤄지도록 했다. B tv에서 VOD 시청 중 등장인물이 입은 옷과 악세사리 등 제품 정보를 확인하고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촬영하면 쇼핑몰과 바로 연결돼 제품을 구매할 수 있다.

◇업계 최초 비디오 클라우드 스트리밍 신기술 도입

SK브로드밴드는 차세대 스트리밍 UI인 VCS(Video Cloud Streaming) 기술을 업계 최초로 개발해 적용했다. VCS 기술은 IPTV의 사용자 환경과 서비스 운영을 셋톱박스가 아닌 클라우드 서버에서 처리한다. 이를 통해 셋톱박스 하드웨어 성능의 제약 없이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해 B tv 고객은 언제나 최신 UI와 서비스를 최고 사양으로 즐길 수 있다.

SK브로드밴드는 UI 반응 속도와 메뉴 탐색 속도를 최신 스마트폰의 연산능력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이전 대비 △리모컨 반응 속도 25% △좌우 메뉴 이동 속도 2.6배 △상하 페이지 스크롤 속도 8.1배 등 UI 성능을 개선했다.

◇에이닷·챗GPT와 기술 접목…더 똑똑해진다

새해에도 AI B tv 기능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먼저 내년 초 챗GPT를 활용해 아이가 직접 그린 AI 동화 캐릭터와 대화를 하며 심리분석과 마음케어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선보일 예정이다.

내년 상반기 중 B tv 검색에 SK텔레콤의 에이닷과 생성형 AI인 챗GPT 등 LLM 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차원의 검색 서비스도 선보인다. 이제 TV와도 여러 단계에 걸쳐 대화를 주고받음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인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다.

김성수 SK브로드밴드 커스터머 사업부장은 “이번 B tv 개편은 지난 9월 SK텔레콤이 발표한 AI 피라미드 전략 중 미디어 사업의 AI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라며 “AI 기반의 초개인화된 미디어 포털 서비스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혜미 기자 hyeming@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