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이슈 증시와 세계경제

"개미군단 늘어야 韓증시 파이커져…강력한 주주환원책 절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K증시 레벨업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력한 주주환원책을 도입하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넘어 코리아 프리미엄을 만들 수 있다."

정부가 기업 스스로 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하도록 하는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방안을 이달 중 발표하겠다고 밝히면서 고질적인 국내 증시 저평가 상황이 개선될 수 있을지에 국내 투자자들 관심이 몰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이 일본 '기업경영 변혁 촉진책'을 벤치마킹한 것으로 본다. 일본은 도쿄증권거래소가 지난해 4월 초 주가순자산비율(PBR) 1배 미만인 상장사에 주가 상승 개선안 제출과 시행을 요구한 뒤 9개월 동안 닛케이225지수가 25%가량 상승했다.

일본 증시 부양책은 크게 자본효율성 개선, 개인자금 유입 유도, 산업정책 등 세 가지 방향으로 나뉜다. 그중 PBR 1배 이하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조치가 자본효율성 개선이다.

일본 정부는 증시를 프라임, 스탠더드, 그로스 3개 시장으로 나누고 우량기업이 상장된 프라임과 스탠더드 시장에 상장된 기업 중 PBR 1배 이하인 곳에 대해선 이를 개선할 방안을 제출하도록 했다. 개선이 보이지 않으면 상장폐지까지 고려하는 강력한 방식이다. 이를 통해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PBR 1배 미만 기업 비중은 2023년 3분기 45.8%로 2022년 4분기(50.6%) 대비 4.8%포인트 낮아졌다.

한국이 눈여겨봐야 할 건 일본 정부가 단순히 PBR에만 집중한 게 아니라는 점이다. 자본효율성 개선이 주로 저밸류 기업들의 리레이팅(재평가)을 유도한 것이라면, 산업 정책을 통해 고밸류 기업들의 주가 상승을 위한 노력도 더해졌다. △인재 △과학기술 및 혁신산업 △스타트업 △녹색 전환 △디지털 전환이라는 5가지 중점 분야를 선정해 대규모 투자를 수행하는 형태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5년 이내에 유니콘 100개 회사, 스타트업 10만개 회사 설립을 목표로 2027년까지 현재보다 10배 이상인 10조엔 규모를 투자하기로 했다.

매일경제

국내 증시에 투자하고 있는 외국계 펀드들도 정부의 정책 향방을 관심 있게 보고 있다. 지난해 삼성물산에 주주제안을 한 팰리서캐피털이 대표적이다. 제임스 스미스 팰리서캐피털 최고투자책임자(CIO·사진)는 최근 매일경제와 만나 "한국 정부의 움직임을 의미 있게 보고 있다"면서 "소액주주가 권리를 요구하는 게 계란으로 바위를 치는 것과 같았던 과거와 달리, 이젠 개인투자자들이 크게 늘어 한국 주식시장이 긍정적으로 변할 수 있는 동력이 생겼다"고 말했다.

스미스 CIO는 헤지펀드 엘리엇매니지먼트에서 20년 가까이 근무한 인물이다. 그는 과거 엘리엇매니지먼트의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 반대 안건을 주도했다. 2019년 엘리엇을 떠나 2021년 런던에서 팰리서캐피털을 설립했다. 스미스 CIO는 "도쿄 증권거래소 변화가 일본에서 큰 차이를 만들어냈다"면서 "한국도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일본 사례를 공부하고 한국의 인적 자원과 혁신 동력을 활용해 일본보다 높은 목표인 '코리아 프리미엄'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팰리서캐피털은 오는 3월 정기 주주총회에서 삼성물산에 주주제안을 할 계획이 없다. 윤석열 정부가 최근 PBR이 낮은 기업들을 대상으로 밸류업에 나서면서 기업 차원의 구체적인 주주환원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스미스 CIO는 "한국 정부의 정책을 주의 깊게 보고 있고, 삼성물산이 이러한 변화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다른 주주와 연합하는 등 대안을 고려해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정부가 조금 더 강력한 정책을 만들어줄 것을 요청했다. 그는 "자사주 즉시 소각 또는 자사주 상당 부분을 즉시 소각하는 정책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팰리서캐피털이 제안하는 건 △자사주 즉시 소각 또는 자사주 상당 부분을 즉시 소각하는 정책 도입 △주주총회를 통해 의결권 행사 및 주주 동의 없는 자사주 재발행 금지 △상장회사 지배권을 확보할 정도의 지분 취득 시 주식의 일정 비율 이상을 의무적으로 공개매수 △이사의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 대상을 일반주주로 확대 △한국거래소나 기관의 해외 기업설명회(IR) 확대 등 크게 5가지다.

스미스 CIO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되면 국민연금 수급자 등 한국 시민들도 큰 혜택을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연금 수급자가 650만명 정도인 걸 감안하면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해소돼 한국 증시의 PBR이 일본(1.4배)이나 아시아 신흥국(1.6배) 정도가 될 때 국민연금의 국내 주식 투자액(139조원) 상승분이 75조~105조원 정도"라면서 "이는 수급자 1인당 1200만~1500만원의 연금자산 상승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얘기"라고 말했다.

[최근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