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대별 취업자 수 추이.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해 고용 회복 기조에도 40대 취업자 수는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40대 취업자 수 감소는 인구감소에 기인하지만 최근에는 경제활동참가율 하락 등 40대의 노동시장 참여 둔화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20일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신고용취약계층 40대의 고용흐름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32만7000명 증가했지만 40대 취업자는 5만4000명 감소했다. 지난해 40대 취업자 수는 626만명으로 2014년 대비 63만6000명 감소했다.
40대 취업자 626만명 가운데 남성은 367만7000명(58.7%), 여성은 258만3000명(41.3%)을 차지했다.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2022년부터 취업자 수가 증가세로 전환됐다.
40대 비경제활동인구 중 조사 대상 기간에 '쉬었다'고 답변한 인구 수는 26만5000명으로 2014년과 비교하면 8만명 증가해 40대 유휴노동력의 증가가 심화됐다.
2014년과 비교해 지난해 40대 제조업 취업자 수는 15만4000명 감소했지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약 11만2000명 증가하는 등 산업구조 변화가 진행됐다.
주된 일자리 외 추가 소득을 위해 부업에 종사하는 40대는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8만4000명에서 지난해 9만8000명으로 증가했다. 코로나 이후 경영 악화, 고금리 등의 어려움이 일부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고도성장기에 취업한 과거 세대와 달리 저성장과 산업구조 전환기에 직면한 오늘날 40대 인력은 고용 안전성을 위협받는 상황"이라며 "우리 경제의 허리층인 40대는 가족부양과 소비, 납세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이들의 고용불안이 가계소득 감소, 내수 위축 등으로 이어져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제까지 정부 일자리 정책이 청년·고령자·여성 등에 집중되어 온 만큼 40대, 특히 중년 남성을 위한 맞춤형 고용정책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제라도 40대 인력의 고용안정을 위한 별도의 일자리 대책이 논의돼야 하고, 도래하는 산업전환이 40대 고용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이들의 신산업 적응력을 높이는 세심한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주헌 기자 zoo@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