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9 (목)

“설마가 틱톡 잡았다” 분위기 파악 못한 로비에 ‘역사적 입법 참패’[★★글로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 분석
“미국은 헌법 있어서 틱톡 못 건드려”
1억7000만 이용자 믿고 안일하게 대처


매일경제

<사진 출처=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틱톡 로비스트들의 안일함, 분위기 맹(盲), 오만이 역사적인 참패를 불러왔다”

지난 24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틱톡 강제매각법’에 서명한 가운데 25일 미 정치 전문 매체 폴리티코는 “틱톡 로비스트들이 사안의 심각성을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있었다”고 법안이 통과된 뒷배경을 전했다.

틱톡과 중국 정부의 연계 우려를 처음 제기한 것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0년 미국 내에서 틱톡의 신규 다운로드를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효했으나 법원에서 제동이 걸렸다.

이에 바이트댄스는 2020년 250만 달러(약 34억원)였던 로비 비용을 이듬해 475만 달러(약 65억원)로 2배 가까이 늘렸다.

그러나 국가 안보 문제에 관해 의회 자문을 제공하는 미중경제안보검토위원회를 이끄는 제이콥 헬버그는 “틱톡과 바이트댄스는 정계에 돈을 뿌리며 로비에 나섰지만 ‘중국 공산당의 영향 하에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 제대로 된 답변을 내놓은 적은 없다”고 틱톡의 로비 행태를 비판했다.

틱톡은 지난 2022년 초 ‘텍사스 프로젝트’라 불리는 개인정보 보호 방안을 들고 나왔지만 미국 의회의 반응은 냉담했다. ‘텍사스 프로젝트’는 미국 클라우드 기업 오라클이 운영하는 서버에 정보를 저장해 틱톡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의원들은 이를 ‘틱톡의 홍보전략’이라고 부르며 무시로 일관했다.

마리아 캔트웰(민주당·워싱턴) 상원의원은 지난 23일 ‘틱톡 강제매각법’에 표결하기 전 “텍사스 프로젝트나 텍사스로 서버를 옮기는지 여부가 문제가 아니다”며 “미국인이나 군에 해악을 끼칠 정보를 (중국 정부에) 빼돌리도록 설계된 백도어가 없는지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특히 작년 초 중국의 정찰풍선이 미 영공을 침범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해상에서 격추되는 사태가 터지면서 틱톡의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다시금 불을 지폈다. 마이클 맥카울(공화당·텍사스) 하원 외교위원회 위원장은 틱톡을 “내 손 안의 정찰풍선”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작년 초 CEO청문회 때에도 ‘의기양양’
인플루언서 동원 시위에 “오만했다” 지적
매일경제

추쇼우즈 틱톡 CEO <사진=AP 연합뉴스>


그러나 각종 논란에도 놀랍게도 경영진은 여유만만한 태도를 보였다. ‘정찰풍선 사태’가 일어난 지 불과 6주 만인 작년 3월 미 하원에서 열린 추 쇼우즈 틱톡 최고경영자(CEO) 청문회에서 의원들은 장장 5시간 동안 ‘틱톡 때리기’에 나섰다. 중국과의 관계, 아동 정신건강에 대한 피해 등이 주요 화두였다.

당시 틱톡 담당자들은 해당 청문회를 두고 “쇼우즈 CEO의 성공적인 첫 데뷔”라고 평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짐 루이스 미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 수석 부사장은 “틱톡의 사내변호사 에리히 앤더슨은 청문회 직후 고양된 말투로 ‘홈런을 쳤다’는 식으로 말했다”며 충격을 금치 못했다.

1억7000만 명에 달하는 방대한 이용자 수에서 비롯된 자신감이 이 같은 오판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루이스 부사장은 “경영진은 미 의회가 헌법을 위반하지 않는 한 입법을 통해 무너뜨리기에는 틱톡이 ‘이미 너무 커졌다’고 느꼈다”며 “스스로를 무적이라고 본 듯 하다”고 평가했다.

틱톡이 그 영향력을 무기로 휘두르며 의회를 압박하는 자충수를 뒀다는 평가도 나온다.

쇼우즈 CEO의 청문회 당일 틱톡은 틱톡 앱에서 활동하는 유명 크리에이터를 동원해 “생계를 빼앗지 말라”며 의회 앞에서 시위를 벌였다.

루이스 부사장은 “빅테크 기업들은 앞에 나서서 자신의 권력을 뽐내지 않는다”며 “그들은 대부분 겸손한 태도를 취하는데 틱톡에서는 ‘겸손’이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매일경제

의회 앞 항의시위 <사진 출처=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