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개인사업자 연체액 전년比 37.4%↑
코로나 기간 대출 급증…고금리로 연체 급증
절반 이상 ‘돌려막기’도 안되는 ‘다중채무자’
은행권, 부실채권 정리 2조8천억원 늘려
코로나 기간 대출 급증…고금리로 연체 급증
절반 이상 ‘돌려막기’도 안되는 ‘다중채무자’
은행권, 부실채권 정리 2조8천억원 늘려
한 상가 공실의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 종로구에서 백반집을 운영하는 자영업자 A씨(50대)는 코로나19만 지나면 상황이 나아질 줄 알았지만 오히려 요즘이 더욱 힘들다. 그간 높은 금리와 소비 부진 등을 은행 빚으로 버텨왔지만 여전한 불경기에 대출을 갚을 여건이 안돼 빚더미에 앉을 판이기 때문이다.
A씨는 “코로나 데믹만 끝나면 다 나아질 것이란 희망조차 이젠 없다”며 “버는 족족 은행 대출을 갚아도 소득 자체가 줄어들어 연체가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한탄했다.
최근 고물가 장기화에 외식 수요가 줄어들고 서민들의 지갑이 닫히며 A씨를 비롯한 자영업자들의 살길이 막막해졌다. 이들의 금융기관 대출 상환 능력이 불투명해지자 은행들의 고심도 덩달아 깊어지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에서 1개월 이상 연체된 개인사업자 대출 총액은 올해 1분기 말 기준 1조3560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1분기 말(9870억원)과 비교했을 때 3690억원(37.4%) 급증한 수치다.
코로나19를 거치며 대출이 대폭 늘어난 가운데 고금리 영향으로 연체가 불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자영업자를 비롯한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크게 뛰며 은행의 연체율은 지난 2월 0.51%까지 올라 2019년 5월 이후 약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상환 능력이 부족함에도 당장의 살길을 찾기 위해 은행 대출로 급한 불을 끄는 사람들의 수와 대출규모는 늘고 있다.
신용평가기관 나이스 평가정보가 국회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자영업자 335만9590명의 금융기관 대출규모는 1112조7400억원이다. 이는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 말과 비교해 약 4년 3개월 사이 대출자는 60%, 대출금액은 51% 증가한 수치다.
이 중 절반 이상(51.4%)은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 더 이상 ‘돌려막기’ 조차 힘든 다중 채무자다.
대출 상환에 애를 먹는 개인 사업자들은 고금리 부담에 노출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미뤄질수록 연체도 누적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불경기→대출→연체→빚더미’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모습이다.
앞서 한국은행은 지난해 말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높은 대출금리 부담이 지속되는 가운데 자영업자의 소득 여건 개선이 지연되고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경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서울 시내 한 은행 창구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은행권 부실 규모 확대 경고음이 거세지자 금융당국과 은행은 연체 우려 차주(돈을 빌린 사람)의 채무조정 활성화에 고삐를 죄고 있다.
지난 3월 은행들이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한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4조2000억원으로 전월(1조3000억원) 대비 2조8000억원 증가했다.
은행들은 연체가 지속돼 부실채권으로 평가되면 채권을 상·매각해 정리한다. 손실을 보더라도 부실채권을 정리해 자산건정성 지표를 우량하게 가져가기 위함이다.
금감원은 “최근 대내외 불안 요인 등으로 인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상황이 지속되면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연체율이 상승할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채무조정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