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삼성전기, 전장 MLCC 매출 1조 '자신감'…로봇·우주 분야까지 진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배수현 기자]

삼성전기가 차별화된 기술과 원자재 수급력을 바탕으로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분야에서 자신감을 드러냈다. 향후 삼성전기는 MLCC를 IT와 전장 분야를 넘어 로봇과 항공우주, 에너지에도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17일 삼성전기는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MLCC 세미나를 열고 삼성전기가 주력하고 있는 전장용 MLCC의 개념과 기술 전망에 대해 소개했다.

전자산업의 쌀, MLCC...고부가가치 산업 기대주

테크M

김위헌 MLCC 제품개발팀 상무가 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 사진=배수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MLCC란 회로에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도록 조절하고 부품 간 전자파 간섭현상을 막아주는 부품이다.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모든 전자부품에 탑재돼있어 전자산업의 쌀이라고도 불린다. 스마트워치에는 500개, 최신 스마트폰 1100개, 디지털TV 3000개, AI서버에는 2만개 이상이 들어간다. 내연기관 자동차는 4000개 이상 사용되고 있으며, 향후 전기차에 적용할 경우 3만개 이상이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MLCC를 미사용하거나 성능이 저하될 경우 전자제품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김위헌 삼성전기 MLCC 제품개발팀 상무는 "전원 불량이 일어나거나 차량의 에어백이 작동되지 않을 수 있다"며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화면 깜빡임, 카메라 화질 불량, 오디오 잡음 등이 발생하게 된다"고 말했다.

전자제품 필수요소로 자리잡은 MLCC는 부가가치 산업으로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김 상무는 "IT와 산업분야, 전장분야에 적용되는 MLCC 시장은 오는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 8% 정도가 예상된다"며 "전기자동차 비중이 점점 확대됨에 따라 전장분야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인 12%가 예상돼 삼성전기도 이에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체 공급망 확보 = MLCC 수명 ↑'

테크M

1608밀리미터 크기의 MLCC / 사진=배수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기는 전장용 MLCC가 사용되는 부분을 내비게이션·블랙박스 등을 담당하는 'IVI' 자율주행용 센서와 카메라를 탑재한 'ADAS' 엔진 동력 전달 장치 '파워트레인' '차체' 등 4가지로 나눴다. 이 가운데 삼성전기는 ADAS와 파워트레인에 집중하고 있다. 김 상무는 "전기차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자율주행이 강화되면서 ADAS 성장률은 69%, 파워트레인 성장률은 138%를 보였다"며 "삼성전기는 해당 분야에 더욱 집중해서 MLCC를 개발하고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장에 사용되는 MLCC는 최소 0603밀리미터에서 1608밀리미터 크기로 매우 미세하다. MLCC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을 위한 고신뢰성·고전압·고온 등 역량이 필요한데 MLCC 구성 요소인 유전체의 얇은 두께와 단위 체적당 고용량화, 재료 미립화가 충족될 경우 가능하다.

삼성전기는 유전체 두께와 단위 체적 용량 등을 매년 개선해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김 상무는 "MLCC 유전체 두께와 단위 세포당 용량, 재료 미립을 동시에 연구하고 있다"며 "단위당 체적된 용량은 한 3~4년마다 약 2배씩 증가시키고 있고 유전체 두께도 2년마다 30% 이상씩 계속 감소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기는 강점인 자체 공급망과 자동화된 생산라인을 구축을 통해 MLCC를 고도화시킬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삼성전기는 현재 부산과 중국 천진에 전장 공장을 운영, 원활한 원료 수급 체계를 구축했다. 김 상무는 "지속 가능한 SCM과 전장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위해 부산공장은 전자제품 R&D 센터 위주로 천진에서는 차세대 전장용 MLCC 생산 기지로 활용하고 있다"며 "특히 부산은 MLCC에 공급되는 원자재들을 내재화해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원료 개발과 생산 전용 라인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핵심원료 자동화를 구축한 삼성전자는 올해 전장용 MLCC 매출 1조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전기, IT와 전장의 만남...차세대 MLCC로

테크M

삼성전기 MLCC의 모형 / 사진=배수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삼성전기는 MLCC를 IT와 전장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이 둘을 융합한 차세대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김 상무는 "IT 고집적화 기술과 전장 MLCC의 고신뢰성화 기술을 융합해 AI나 빅데이터 5G 쪽으로 확대하고 있다"며 "두 기술을 융합함으로서 메가 트렌드인 차세대 어플리케이션에도 삼성전기가 진입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히 삼성전기는 최근 온디바이스 AI에 이처럼 융합된 기능을 지닌 MLCC를 탑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 상무는 "온디바이스에 들어가는 MLCC는 회로가 복잡하고 속도도 빨라져 기존 MLCC보다 고려해야 할 것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IT와 전장 기술을 병합한 에너지 시스템을 준비하다"고 했다.

전장용 MLCC 제품을 작년 12월부터 지속적으로 출시한 삼성전기는 앞으로 휴머노이드나 우주항공, 에너지 등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 상무는 "기존 삼성전기 MLCC는 IT 기반으로 했지만 이제 서버나 AI 서버, 자동차 쪽으로 집중을 많이 하고 있다"며 "이러한 모바일에서 향후 모빌리티 시장으로 넘어간 이후를 대비해 AI 기반 로봇, AI 서버, 에너지용 MLCC 개발에도 많이 집중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배수현 기자 hyeon2378@techm.kr

<저작권자 Copyright ⓒ 테크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