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김계환·박정훈 대질 조사 불발…"해병대에 더 큰 상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수처 대질 시도, 김계환 측 거부

최고 지휘관과 부하 대면, 큰 상처

아시아투데이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21일 오전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수사외압 의혹 관련 조사를 받기 위해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출석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김형준 기자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에 대한 소환 조사를 마무리했다. 두 사람의 대질 조사는 김 사령관의 거부로 무산되고 말았다.

공수처는 21일 오전 김 사령관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으로, 오후에는 박 전 수사단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공수처는 이날 이른바 'VIP 격노설'을 두고 상반된 주장을 펼치고 있는 양측에 대한 대질 조사를 시도했지만, 김 사령관 측이 "해병대가 회복할 수 없는 상태에서 해병대를 책임지고 있는 최고 지휘관과 부하가 대면해 시시비비를 가리는 것은 해병대에 더 큰 상처"라며 "본연의 임무를 수행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고 이를 거부했다.

박 전 수사단장은 김 사령관이 '채상병 사건' 관련 조사 기록 이첩을 지시하며 "대통령실에서 VIP 주재 회의 간 1사단 수사 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대통령이 격노하면서 (국방부)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는 말을 들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김 사령관은 박 전 단장이 항명죄를 벗어나기 위해 이야기를 지어낸 것이라며 외압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아시아투데이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이 21일 오후 정부과천청사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로 출석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수처는 이날 150쪽이 넘는 분량의 질문지를 준비해 고강도 조사를 진행했다. 김 사령관은 지난 4일 공수처에 출석해 15시간 가까이 조사를 받은 데 이어 이날에도 13시간 가까이 조사를 받았다. 박 전 단장도 오후 2시에 출석해 9시간에 가까운 조사를 받았다.

당초 법조계 일각에서는 두 사람이 지난 2월 1일 중앙군사법원에서 열린 박 전 단장의 항명 혐의 재판 후 이날 110일 만에 얼굴을 마주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공수처 관계자는 "대질 조사를 염두하지만 안 할 수도 있다"며 "박 전 수사단장 소환 조사는 별도의 이유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오동운 신임 공수처장이 이날 오후 윤석열 대통령의 임명안 재가에 따라 정식 임기를 시작하며 이번 사건 수사에 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오 처장은 지난 17일 인사청문회 당시 "외부 압력을 막아 공수처 검사들이 법과 원칙에 따라 소신 있게 일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