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1 (월)

이슈 세계 정상들 이모저모

[깨알지식Q] 한중일 정상회의에 중국은 왜 2인자 총리를 보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리창 중국 총리가 27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7일 열린 한·중·일 정상 회의에 중국 측에선 일인자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아닌 이인자 리창(李强) 총리가 참석했다. 이 때문에 전날 윤석열 대통령과 리창의 만남을 두고 대통령실은 ‘정상 회담’ 대신 ‘양자 회담’이라 칭했고, 중국 관영 매체에서도 ‘원수 회오(會晤·회견)’란 표현을 쓰지 않았다. 3국 정상 회의가 2008년 출범한 이후 중국은 9차례 모두 총리가 정상 자격으로 참석했다. 유독 중국만 이인자가 오는 이유는 무엇일까.

1980년대 덩샤오핑 시대에 확립된 ‘집단 지도 체제’에 따라 2008년 첫 회의 때 중국 총리가 정상 자격으로 참석한 것이 관례로 굳어졌기 때문이다. 2018년 개헌으로 시진핑에게 권력이 집중되기 전까지 중국은 형식상 최고 지도부(중공 정치국 상무위원) 7인이 수평 관계를 유지하며 중국을 이끌어왔다. 특히 주석은 정치·외교·군사, 총리는 경제와 내치를 담당하면서 국제 행사에 나눠 참가했다.

한·중·일 정상 회의가 처음 개최된 2008년은 후진타오 주석 재임 시절이었는데, 이때 경제 분야에서 전권을 갖고 있었던 원자바오 총리가 참석했다. 당시 3국이 경제 협력을 논의하자는 취지로 만났기에 원자바오의 참석은 납득 가능했다.

중국에서 총리는 ‘행정부 수반’ ‘경제 수장’으로서 위상이 높다. 1988년부터 10년간 총리로 재직했던 리펑 총리는 장쩌민 주석조차 격을 갖춰 대했고, 원자바오는 ‘서민 총리’로 불리며 후진타오보다 높은 인기를 구가했다. 2013년 총리에 오른 리커창도 임기 초반엔 실세 대접을 받았다.

하지만 시진핑이 집권하면서 최근 총리 권력은 축소되는 모습이다. 지난 3월 국무원조직법 개정으로 당정 분리 원칙도 사실상 폐기됐다. 최근 외교가에서 정상 회의에 시진핑 주석이 직접 참석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이유다.

-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국제퀴즈 풀고 선물도 받으세요!https://www.chosun.com/members-event/?mec=n_quiz

[베이징=이벌찬 특파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