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이슈 유럽연합과 나토

나토 “프랑스, 극우파 집권해도 동맹에 계속 남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프랑스 하원의원 총선 앞두고 긴장 고조

마크롱 “극우 세력 안보관 위험” 맹공격

곧 치러질 프랑스 하원의원 총선거에서 극우 성향의 야당이 승리할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수장이 ‘극우파가 집권하더라도 프랑스가 나토 군사동맹에 계속 남아야 한다’는 바람을 드러냈다. 프랑스 총선은 원래 2027년으로 예정돼 있었으나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은 최근 하원을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세계일보

프랑스의 극우 성향 야당 국민연합(RN)을 이끄는 조르당 바르델라 대표. 곧 있을 프랑스 총선에서 RN이 승리하는 경우 바르델라가 총리에 취임해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과 동거정부를 꾸릴 가능성이 크다. 로이터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3일(현지시간) AFP 통신에 따르면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은 이날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나토 국방장관 회의에서 “그간 나토 회원국에서 어느 정파가 정권을 잡든 동맹에 계속 충실했던 사례를 줄곧 지켜봐왔다”면서 “왜냐하면 동맹국의 안보라는 이익이 걸려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총선이 임박한 프랑스를 거론하며 “그래서 나는 프랑스가 (선거 결과와 상관없이) 앞으로도 확고하고 중요한 동맹국으로 남을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프랑스에서 실시된 유럽의회 선거 결과 마크롱 대통령이 이끄는 중도 우파는 참패한 반면 극우 성향의 국민연합(RN)이 의석수를 대폭 늘리며 선전했다. 이에 충격을 받은 마크롱 대통령은 하원 해산 방침을 전격 발표했다. 이에 따라 프랑스 하원은 오는 30일 총선 1차 투표에 이은 7월7일 결선투표를 거쳐 새롭게 구성될 예정이다.

이원집정제를 택한 프랑스는 대통령이 외교·국방을, 총리가 경제 등 내치를 각각 맡는 구조다. 대통령과 총리의 소속 정당이 같을 때에는 이런 시스템이 별 탈 없이 굴러가는데, 문제는 여당의 총선 패배로 야당이 하원 다수당이 되는 여소야대 정국이다. 이 경우 서로 소속 정당이 다른 대통령과 총리가 공존하는 동거정부 구성이 불가피하다. 과거 사례에 비춰보면 동거정부에선 야당 출신 총리가 외교·국방 정책에도 깊숙이 개입하며 대통령의 권한이 위축되는 것이 불가피하다. 프랑스 언론들은 벌써부터 여당의 패배를 예상하면서 RN을 이끄는 올해 29세의 젊은 정치인 조르당 바르델라가 총리에 오를 가능성을 제기한다.

세계일보

옌스 스톨텐베르그 나토 사무총장(왼쪽)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RN은 전부터 ‘우리가 집권하면 미국 주도의 군사적 지휘체계에서 벗어날 것’이란 의지를 공공연히 밝혀왔다. 이에 마크롱 대통령은 “RN이 프랑스의 나토 탈퇴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그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대한 RN의 입장이 모호하다는 점도 지적했다.

프랑스는 샤를 드골 대통령 시절인 1966년 나토 군사동맹에서 탈퇴한 바 있다. 당시 드골은 나토가 사실상 미국의 지휘 아래 있는 점을 문제삼으며 “프랑스의 방위는 프랑스인들 스스로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로부터 40년 넘게 지난 2009년 니콜라 사르코지 대통령은 드골의 결정을 번복하고 나토에 복귀하는 길을 택했다.

김태훈 논설위원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