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대북송금 유죄 이화영 추가 기소…“지역업체서 5억여원 수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2018년 7월 당시 경기도지사였던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집무실에서 이화영 전 당시 평화부지사에게 임용장을 수여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쌍방울 그룹의 대북송금에 관여하고 수억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 등으로 1심에서 징역 9년 6개월을 선고받은 이화영(60)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경기지역 업체들에서 뇌물과 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추가로 재판에 넘겨졌다.

수원지검 형사6부(부장 서현욱)는 18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뇌물)과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이 전 부지사를 기소했다고 밝혔다.

이 전 부지사는 경기도내 건설업체 등 4개 업체에서 현금 3억원을 수수하고 외제차량 리스 비용과 개인사무실 월세, 수행기사 급여 등을 대납하게 하는 등 총 5억3700만원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수행비서 급여·외제차 리스비·사무실 관리비까지 대납



이 전 부지사는 더불어민주당 용인시갑 지역구 위원장으로 재직하던 2021년 7월부터 2022년 9월까지 경기지역 건설업체 대표 B(72)씨에게 지역위원회 운영비 등의 명목으로 15차례에 걸쳐 매달 2000만원씩 총 3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는다. 그는 2021년 12월경엔 “(대선) 선거캠프로 사용하려고 하니 집을 빌려달라”고 요청해 B씨 소유의 전원주택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사용하기도 했다.

중앙일보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범행 구조. A씨가 이 전 부지사다. 수원지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전 부지사는 2015년 10월 경기지역 전기공사업체 대표 C(55)씨의 회사에 허위 직원으로 이름을 올려 급여 명목으로 4300만원을 받은 혐의도 받는다. 또 2016년 9월 C씨 회사 명의로 빌린 외제차량을 6년간 무상으로 사용하면서 리스비용과 보험료 등 5500만원을 C씨가 내도록 하기도 했다. 경기도 평화부지사(2018년 7월~2020년 1월)와 킨텍스 대표이사(2020년 9월~2022년 9월)로 재직할 때도 C씨에게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인근 건물에 빌린 개인 사무실 2곳의 월세와 관리비 5200만원을 대납하게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전 부지사는 이 밖에도 경기지역 아스콘·레미콘 업체 부회장 D(58)씨에게 부탁해 국회의원 재직(2004~2008년) 당시 수행비서였던 측근을 허위 직원으로 이름을 올리게 한 혐의도 받는다. 그는 이 측근이 범죄 전력이 있어서 부지사 비서관으로 채용할 수 없자 당시 사업상 편의를 원하던 D씨에게 부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전 부지사의 측근은 2018년 8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D씨의 회사에서 3700만원의 급여를 받았지만 사실상 이 전 부지사의 사적 수행기사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앙일보

이화영(A) 전 경기도평화부지사의 뇌물과 정치자금 수수 내역. 수원지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찰은 이 전 부지사가 2020년 2월 자신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를 위해 김성태 전 쌍방울그룹 회장에게 고액 후원을 요청했고 김 전 회장은 다른 사람 이름으로 500만원씩 쪼개 총 2000만원을 후원한 혐의도 받는다. 이 전 부지사는 2019년 1월에도 김 전 회장에게 “고향 선배인 경찰관이 승진할 수 있도록 힘을 써달라”는 부탁과 함께 3000만원을 받은 혐의도 추가됐다.

검찰은 “이 전 부지사가 지난 7년간에 걸쳐 수수한 금전만 8억6300만원(경기지역 4개 기업 5억3700만원, 쌍방울그룹 3억2600만원)으로 경기도 평화부지사(18개월)와 킨텍스 대표이사(24개월)로 재직하면서 받은 금액(4억8000만원)보다 많다”고 지적했다.

검찰은 B씨 등 3명과 김 전 회장도 뇌물공여,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 관계자는 “이 전 부지사의 범죄는 경기도 부지사 등 지위와 영향력을 이용해 경기 지역 사업자들에게 온갖 구실과 다양한 명목으로 장기간 부정한 돈을 수수한 정경유착의 전형”이라며 “이 전 부지사가 취득한 범죄수익을 전액 추징보전 조치하고, 피고인들에게 범죄에 상응하는 처벌이 이뤄지도록 공소유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모란 기자 choi.mora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