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IT기업 이모저모

[팩플] “네이버와 기술분리 앞당길 것” 재확인한 라인야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경기 성남시 분당구 라인플러스 본사.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개인정보 유출 사태 이후 네이버와 분리 수순을 밟고 있는 라인야후가 ‘탈(脫) 네이버’에 속도를 내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당초 2026년으로 예정됐었던 네이버 클라우드와 라인야후 자회사 간 시스템 분리도 앞당길 예정이다. 시스템 뿐 아니라 서비스 영역에서도 네이버와 관계를 종료하면서 라인야후에서 네이버의 영향력은 점차 축소될 전망이다.



무슨 일이야



이데자와 다케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는 18일 일본 도쿄 라인야후 본사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네이버 클라우드에 위탁했던 직원용 시스템과 인증 기반 분리 작업을 2024년 안에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회계연도 기준으로, 실제 기간은 2025년 3월까지다.라인야후는 인프라 뿐만 아니라 서비스 분야에서도 네이버와 결별하겠다는 방향성을 확고히 했다. 이데자와 CEO는 이날 직접 “일본 내 거의 모든 서비스에서 네이버와 관계를 종료하겠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 13일 라인야후는 일본 내 모바일 송금·결제 서비스인 라인페이를 내년 4월 30일까지 차례로 종료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기존에 하던 사업은 소프트뱅크가 운영하는 간편결제 서비스 페이페이로 이관한다. 라인페이는 라인이 네이버 자회사였던 2014년 출시한 서비스다.

중앙일보

일본 라인야후가 오는 2025년 4월30일을 기한으로 지난 10년간 일본서 해오던 '라인페이' 결제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13일 밝혔다. 사진은 라인페이 종료 안내 페이지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라인의 아버지, 이사 사임



이날 주총에서는 신중호 라인야후 최고제품책임자(CPO)를 이사회에서 제외하는 안건도 통과됐다. 신 CPO는 NHN재팬 시절부터 라인 앱 개발과 사업을 주도해 ‘라인의 아버지’라 불려온 사실상의 라인 창업자다. 라인야후 이사회에 있던 유일한 한국인이기도 했다. 신 CPO는 지난달 열린 라인플러스 직원 대상 온라인 간담회에서 “(이사회에서 물러나더라도) 계속 라인에 남아있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다만 이사회 의사결정과정에 배제되면서 과거와 같은 영향력을 행사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신 CPO가 라인야후 사내이사에서 물러남에 따라 이사회는 전원 일본인으로 꾸려지게 됐다.

이데자와 CEO는 A홀딩스(라인야후 지분 64.5%를 보유)에 대한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 지분 변경 관련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A홀딩스 지분을 50:50 비율로 보유하고 있다. 라인 사용자 개인정보 유출 사태 관련 일본 총무성이 ‘네이버와의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지도를 내린 이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지분 매각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라인야후 측은 이날 “모회사 등에 (네이버와의 지분관계) 검토를 요청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정해진 사실은 없지만 자본관계 재검토를 포함해 공표해야할 사실이 생기면 신속히 알리겠다”고 말했다.



앞으로는



일본 총무성이 라인야후 측에 제시한 행정지도 관련 개선안 제출 시한은 다음달 1일이다. 업계에선 네이버가 일단 다음달 1일 제출할 보고서에는 ‘라인야후 지분 유지’ 입장을 담을 것으로 보는 전망이 많다. 다만 소프트뱅크와의 지분 매각 협상은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소프트뱅크가 오는 20일 주총을 개최하는 만큼 여기에서 관련 사안이 언급될 가능성도 있다.

■ 더중앙플러스: 네이버의 글로벌

" “네이버는 라인(LINE)으로 글로벌 진출 모델을 만들었다. 직원들이 발버둥치면서 괴로워하는 걸 봐서 나도 괴로웠다. 정말 성공하고 싶었다”(2016년 7월 15일, 라인 상장 기자회견 중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가 정말로 성공하고 싶었다던 라인. 라인야후 사태는 네이버의 글로벌 전략을 어떻게 뒤흔들까요. 팩플이 ‘“라인 망할까 펑펑 울었다” 이랬던 네이버 치명적 실수’를 통해 내수기업에서 글로벌 빅테크로 나아가고자 하는 네이버의 글로벌 전략을 짚었습니다. 중앙일보 프리미엄 디지털 구독 서비스인 The JoongAng Plus ‘팩플 오리지널’(https://www.joongang.co.kr/article/25248969)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라인의 글로벌을 이끈 이은정 라인플러스 대표의 ‘팩플 인터뷰’(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7258)도 함께 보시면 좋습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