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구·중국 전기차 갈등’에 리비안 등 미국 전기차 꿈틀…에코캡·대원화성 급등 [자이앤트 스톡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관세 전쟁 ‘美·EU·캐나다 vs 中’

독일, 중국 전기차 관세 협상 중
폭스바겐 “리비안에 7조원 투자”

자금난 겪던 리비안 시간외 50%
‘동병상련’ 루시드에도 매수세

한국선 오전 장 중 관련주 급등


매일경제

25일(현지시간) 리비안 주가 흐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과 유럽연합(EU)에 이어 캐나다도 중국산 전기차에 추가 관세 부과 논의에 들어간 가운데 독일 ‘국민 자동차 기업’ 폭스바겐이 미국 전기차 리비안에 최대 50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히자 뉴욕증시 투자자들이 미국 전기차 기업들이 무역 갈등 반사효과를 입을 지 주목하고 있다.

국내 증시에서는 리비안 관련주에 매수세가 몰렸다.

25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는 리비안(티커 RIVN) 주가가 전날보다 8.63% 올라 1주당 11.96 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다만 장 마감 후 폭스바겐이 미국 리비안에 최대 50억 달러(약 6조9500억 원)를 투자할 예정이라는 소식이 나오면서 리비안 주가는 시간 외 거래에서 50% 가까이 폭등했다.

매일경제

26일 장 중 에코캡 주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6일 국내 증시에서는 리비안 관련주가 급등하는 분위기다.

우선 에코캡(티커 12854)은 오전 장 중 상한가를 기록했다. 회사는 리비안에 와이어링 하네스를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매일경제

26일 장 중 대원화성 주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원화성(024890)도 오전 장 중 24% 가량 뛰었다. 회사는 고급 습식 합성 피혁 전문업체로 현재 리비안과 현대차, 기아 등에 고급 소재 합성피혁을 납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폭스바겐이 리비안 투자에 나선 것은 미국의 중국산 고율 관세 부과에 발 맞춰 미국 기업과 손잡고 북미 시장 틈새 공략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따른다.

폭스바겐은 리비안에 10억 달러를 지분 매입 방식으로 초기 투자한 후 오는 2026년까지 총 40억 달러를 추가 투입해 합작회사를 세운다는 계획이며 최종 결정에 앞서 투자 협약을 알린 상태다.

두 기업 투자 협약에 따라 리비안은 합작 회사의 최고기술경영자(CTO)를 임명하고, 폭스바겐은 최고운영책임자(COO)를 각각 임명할 예정이다.

매일경제

폭스바겐은 이번 투자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북미지역에서 전기차를 25종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미국과 EU 등 서구권과 중국간 무역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전기차 시장 확대 여력이 큰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서는 것으로 풀이된다.

리비안은 이번 투자에 힘입어 그간 사업 발목을 잡은 자금난을 어느 정도 덜어낼 것으로 보인다.

RJ 스카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거래는 리비안이 현금 흐름을 긍정적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오는 2026년부터 미국 일리노이주 공장에서 소형 스포츠유틸리차량티(SUV) R2 생산을 늘리고, 조지아주 공장에서는 중형 전기차 플랫폼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는 루시드 등 다른 전기차 신생기업과 마찬가지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로 매출 압박이 커지고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고강도 긴축 정책 영향으로 자금 조달이 힘들어지자 지난 해부터는 대규모 전환 사채(CB) 발행을 통해 현금 확보에 나서왔다.

투자자들은 리비안이 올해 흑자 전환에 성공할 지 여부에 눈길을 둔다.

회사는 지난 2009년 창립 이후 분기별로 적자를 이어왔으며 올해 1분기에는 15억 달러 적자를 냈다. 리비안의 매출 20% 가량이 아마존에 납품하는 전기 트럭인데 매출 확장이 힘든 전기차 시장 분위기 탓에 회사는 올해 3월에 조지아 공장 건설을 중단하고 직원 임금을 삭감하는 등 긴축 경영을 이어왔다.

매일경제

25일(현지시간) 루시드 주가 흐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폭스바겐의 대규모 투자 소식이 나오자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루시드 주가도 시간 외 거래에서 9% 가량 뛰었다.

미국 신생 기업들이 중국산 전기차 견제 반사효과로 자금난에서 벗어나 새로운 판로를 열 수 있을 것이라는 투자 기대감이 매수세로 이어진 결과다.

다만 루시드의 경우 세계 최대 국부펀드로 불리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로부터 자금 조달을 받아온 만큼 당장은 뚜렷한 호재가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추격 매수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한편 리비안 주가 급등과 관련해 이른 바 숏 스퀴즈(가격 하락을 기대하고 공매도했지만 가격이 오르자 손실을 줄이기 위해 다시 매수하는 것) 가능성도 점쳐진다.

공매도 분석업체 S3파트너스에 따르면 리비안 공매도율은 18%에 달한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기업들 평균 공매도율이 약 5%이고 테슬라는 3% 선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