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아마존, 美 기업 5번째 '2조달러 클럽' 진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마존이 26일(현지시간) 시가총액 2조달러를 기록했다. '2조달러 클럽' 가입은 미국 기업 중 다섯번째다.

아마존은 이날 전일 대비 3.9% 상승한 193.61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시총은 2조148억달러(약 2803조원)를 기록했다. 2조달러를 넘은 것은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에 이어 다섯번째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난해 말 151.94달러였던 아마존 주가는 올해 꾸준히 상승세를 타며 약 27% 급등했다. 지난 12개월간 52% 뛰었다. 시총 2조달러가 된 것은 창업 이후 30년 만으로, 2020년 1월 처음 시총 1조달러를 넘어선 지 4년 5개월 만이다.

월가에서는 아마존이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아마존은 지난 4월 1분기 실적발표에서 핵심 사업부인 AWS(아마존웹서비스) 매출이 17% 늘었다고 밝혔다. 이는 월가 예측(12%)을 큰 폭으로 뛰어넘은 것이다. 아마존은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의 약 40%를 차지하고 있다.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라이벌로 꼽히는 AI 스타트업 앤스로픽에 40억달러(약 5조5652억원)를 투자하기도 했다. 또 지난해 11월 자체 개발한 AI 칩 '트레이니엄2'를 공개하고, AI 챗봇 '큐'(Q)를 선보이는 등 AI 역량 강화에 나서고 있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기술 애널리스트는 "밸류에이션 상승의 큰 부분은 클라우드와 AI"라며 "아마존은 AI 혁명의 주요 플레이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 부문 외에도 아마존은 2022년부터 여러 부서에 걸쳐 2만7000명 이상의 직원을 감원하며 비용 절감 기조로 돌아섰다.

닐 선더스 글로벌데이터 리테일 이사는 이 같은 모든 것들이 투자 심리를 높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아마존 주가는 회사가 비용을 절감하고 AI 열풍을 더 잘 활용하기 위해 비즈니스를 재구성하며 지난 1년간 상승했다"며 "또한 핵심 AWS 사업은 다시 성장이 가속화한다는 조짐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오수연 기자 syo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