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대기업 절반 "하반기 수출 전년比 증가"…원자재값 상승은 '리스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경협, 대기업 대상 '2024년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

철강·석유제품 업종은 "작년보다 수출 감소" 전망

뉴스1

2024년 하반기 업종별 수출 증가·감소 전망(한경협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대기업 절반 이상이 올해 하반기 수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하반기 수출 전망 조사' 결과를 1일 공개했다. 한경협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상위 1000대 기업들을 대상(152개사 응답)으로 진행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3.2%는 지난해 동기 대비 수출 증가를, 36.8%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업종별로 보면 △선박(100.0%) △석유화학(75.0%) △바이오헬스(72.7%) △자동차부품(70.0%) △전기·전자(68.3%) △일반기계(54.5%) △자동차(50.0%)는 절반 이상의 기업이 하반기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 응답했다. 반대로 철강(46.2%)과 석유제품(0.0%)은 감소할 것으로 답한 기업이 더 많았다.

뉴스1

2024년 하반기 업종별 수출 증가·감소 전망 이유(한경협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하반기 수출 증가를 전망한 기업들은 '업황 개선으로 인한 수요 증가'(35.4%), ‘신기술 개발 등 제품경쟁력 강화’(15.6%) 등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수출 감소를 예상한 기업들은 '원자재 및 유가 상승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약화'(33.9%), '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25.0%) 등을 주요 요인으로 지적했다.

응답 기업의 10곳 중 8곳(79.0%)은 올해 하반기 수출 채산성(수출을 통해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의 수준)이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 비슷(50.0%)하거나, 악화(29.0%)할 것으로 봤다. 수출 채산성 개선을 점친 기업 비중은 21.0%에 그쳤다.

채산성 악화를 예상한 응답이 개선될 것이라는 답보다 많은 업종은 석유제품, 바이오헬스, 석유화학, 전기·전자, 철강, 일반기계 순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답한 업종은 선박, 자동차, 자동차부품 등이다.

채산성 악화의 주요 요인으로는 '원유, 광물 등 원자재가격 상승'(38.7%), '수출단가 인하'(22.7%), '환율 상승에 따른 수입 비용 증가'(13.6%) 등으로 응답했다.

뉴스1

2024년 하반기 수출 리스크 및 적정 환율 조사(한경협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하반기 수출에 영향을 미칠 리스크는 △원부자재 단가 상승(29.0%) △글로벌 저성장 추세로 인한 수요 회복 지연(27.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지속 및 중동 분쟁 확대(15.1%)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들은 하반기 유가 불안이 지속될 경우 △판관비, 운영비 등 비용 절감(40.8%) △제품가격 인상(21.7%) △공급망 다변화(20.4%) 등의 대응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올해 하반기 수출 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환율은 평균 1332원으로 집계됐다. 상반기(1월~6월 20일 기준) 원달러 평균 환율(매매 기준율 기준)은 1347원이다. 하반기에도 이러한 환율 수준이 지속되면 기업들의 수출 채산성에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으로 △외환시장 안정성 강화 조치(19.6%) △원자재 수입 관련 세제지원(17.9%) △법인세 감세·투자 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17.5%) △물류 차질 방지 지원(13.2%) △정책금융 확대(12.5%) 등을 꼽았다.

한경협은 최근 원달러환율이 1400원(6월 27일 기준, 1390원)에 육박하는 가운데 미국 금리 인하 지연, 엔저 지속 등 환율 불안 요인이 계속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이 외환시장 안정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올해 하반기 수출은 주력 수출 품목인 반도체 등의 호조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둔화, 환율 불안정, 반도체 경쟁 심화, 지정학적 리스크, 주요국 선거 등으로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라며 "국내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 제고를 위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법과 제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jh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