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22 (월)

시멘트·레미콘은 한창 '보릿고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주택 등 전방산업 침체로 출하량 크게 줄어…하반기도 '불확실'

시멘트, 상반기 출하 20% 가량 줄듯…건설사와 가격 협상 관건

레미콘, 수도권도 수요 약 40% ↓…기사들과 운송비 '줄다리기'

주택경기 회복까진 시간 필요…"인허가, 착공등 작년 수준 전망"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멘트, 레미콘이 보릿고개를 한창 넘고 있다.

전방산업인 주택건설경기 침체로 원자재격인 시멘트, 레미콘 수요가 크게 줄면서다.

하반기에도 주택건설경기가 살아날지 미지수여서 불확실성이 더욱 커지는 등 시계제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운송사업자(기사)들의 파업 고비를 넘긴 레미콘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운송비(운반비) 인상 여부를 놓고 레미콘회사와 기사들간 줄다리기가 더욱 팽팽해지고 있다. 시멘트값을 놓고선 시멘트회사와 건설사가 맞서고 있다.

시멘트와 레미콘 수요가 크게 위축돼 경영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에서 곳곳에서 복병까지 만나고 있는 모습이다.

9일 시멘트·레미콘업계에 따르면 시멘트와 레미콘은 수요 위축으로 올해 상반기 공급 물량이 크게 감소했다. 'Ready Mixed Concrete'의 약자인 레미콘(REMICON)은 시멘트와 모래·자갈 등 골재, 혼화재, 물을 섞어 만든다.

시멘트의 경우 생산량은 올해 1분기(속보) 1049만톤(t)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의 1173만t보다 10.6% 감소했다. 출하량 역시 같은 기간 1211만t에서 1053만t으로 13% 하락했다.

이런 가운데 6월 들어 출하량이 20% 이상 감소하는 등 2분기는 더욱 위축됐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통상적으로 2분기부터는 시멘트 수요가 늘면서 출하도 증가한다. 4분기도 대표적인 성수기다. 하지만 2분기부터 눈에 띄게 감소폭이 커졌다. 이같은 추세라면 올해 연간 출하량은 전년보다 20% 이상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토로했다.

한국시멘트협회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시멘트 출하량(내수 기준)은 2475만t(2019년)→2323만t(2020년)→2408만t(2021년)→2424만t(2022년)→2604만t(2023년)을 각각 기록했다.

레미콘업계도 힘들긴 마찬가지다.

A사의 경우 올해 상반기(1~6월) 레미콘 출하량은 199만㎥(루베)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235만 ㎥에 비해 15.3% 가량 줄어든 양이다.

A사 관계자는 "2022년 상반기 출하량은 280만 ㎥이었다. 올해 상반기의 경우 2년전에 비해 출하량이 28.9% 정도 줄어든 것으로 파악돼 매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상반기 출하량 기준으로 2021년에 353만 ㎥를 기록했던 B사도 2022년 318만 ㎥, 2023년 335만 ㎥ 등으로 등락을 거듭하다 올해 상반기는 지난해 수준보다 크게 하락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B사는 1분기 기준으로도 141만 ㎥에 그쳤다.

수도권에서 레미콘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한 대표는 "사업하면서 이런 적은 없었다. 전국적으로 레미콘 수요가 반토막이 났다. 사정이 그나마 나은 수도권도 지난해에 비해 40% 정도 물량이 줄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레미콘 기사들은 운송비를 올려달라고 압박하고 있어 사면초가 상태"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물량이 가장 많이 집중해 있는 수도권의 경우 12개 권역으로 나눠 개별 회사와 운송사업자간 운송비 협상을 이번주부터 본격 시작했다. 하지만 타결을 보기까진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소속 전국레미콘운송노동조합은 운송비 등을 놓고 지난 1일 파업에 돌입했다 이틀후인 3일 철회한 바 있다.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2018년 당시 ㎥당 6만6300원이었던 레미콘 단가(25-24-150 규격 수도권 협단가 기준)는 2023년 8만8700원으로 5년간 33.8% 올랐다. 2019년엔 동결되기도 했다.

반면 같은 기간 운반비(1회전 기준·수도권 평균)는 4만4500원에서 6만9700원으로 56.6%나 상승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시멘트, 레미콘의 전방산업인 주택건설경기가 회복되기까진 시간이 좀더 필요해보인다.

국토교통부가 최근 내놓은 '2024년 5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5월 기준 착공은 1만7340호로 전월(4만3838호)보다 60.4%나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동월(1만2269호)보다는 41.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1~5월 기준 착공도 올해(10만6537호)가 지난해(8만1083호)보다 31.4% 늘긴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2024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주택공급은 2022년, 2023년 사이 택지준비, 인허가, 착공 물량이 급감했고 2024년의 프로젝트 금융여건도 단기간에 개선되기 어려워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물량이 지난해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2년과 비교해 지난해의 경우 인허가(-36%), 착공(-57.2%), 아파트 분양(-44.7%), 준공물량(-18.5%)이 모두 큰 폭으로 줄었다. 올해도 작년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