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단속 1주차에 118건 접수
피의자 94% 가량이 10~20대
지난달 30일 대구 수성구 시지중학교에서 학교전담경찰관(SPO)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딥페이크 성착취물 범죄 예방 교육을 하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박준규 기자] 딥페이크(Deepfake) 디지털 성범죄가 기승을 부리면서 경찰이 ‘허위영상물 특별 집중단속’을 시작했는데 단속 1주차에 특정한 피의자(33명)의 94%가 10대였다.
3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달 28일부터 딥페이크 성범죄 특별 단속을 시작하자 불과 며칠 사이에 총 118건의 딥페이크 관련 범죄가 접수됐다. 경찰은 이 사건에 연루된 33명의 피의자를 특정했고, 7명을 바로 검거했다.
대부분은 10대였다. 경찰이 8월 마지막 주에 특정한 피의자 33명 중 31명이 10대였고, 붙잡은 피의자 7명 중 6명도 10대였다.
주변 지인의 사진을 함부로 음란물과 합성한 딥페이크 합성물을 이른바 ‘겹지인방’, ‘지인능욕방’ 따위의 텔레그램 채널에서 공유하는 사례는 크게 늘고 있다. 올해 1~7월 사이에 경찰이 파악한 발생건수는 297건, 주당 평균 9.5건 수준이었다. 하지만 경찰이 특별단속을 시작한 8월 마지막주에만 118건이 접수되며 폭증했다.
우종수 국가수사본부장은 2일 기자단 간담회에서 “추측컨대 과거엔 수사 의뢰를 안 하고 사인 간에 합의를 보고 넘겼던 것이 이제는 ‘미투(me too)’ 운동처럼 되니 피해자들이 적극적으로 신고하는 것 아닌가 보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29일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서울여성회와 서울여성회 페미니스트 대학생 연합동아리 주관으로 딥페이크 성범죄 규탄 여성 시민·대학생 긴급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피해 사례가 잇달아 터져나오자, 그간 10대 사이에서 딥페이크를 활용한 성폭력이 얼마나 만연돼 있었는지도 드러나고 있다. 올해 7월 말까지 딥페이크 허위영상물 피의자 연령 구성을 보면 10대 비중이 73.6%(131명), 20대는 20.2%(36명)로 10~20대가 전체의 94% 가량을 차지한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10대 사이에서조차 범죄에 대한 불안, 피해 의식이 자라나고 있는 심각한 상황”이라며 “기술을 잘못 사용했을 때 누군가를 죽음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을 (학생들에게) 충분히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