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배 메모리사업부장, '세미콘 타이완'서 메모리 비전 제시
"다양한 제품군 필요…온디바이스 AI 전용 설루션 개발 주력"
'세미콘 타이완 2024'에서 기조연설하는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사장) |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삼성전자[005930]가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글로벌 반도체 산업 전시회 '세미콘 타이완 2024'에서 인공지능(AI) 시대에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넘어 반도체 생태계를 아우르는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서의 경쟁력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사장)은 4일 세미콘 타이완 기조연설을 통해 메모리 기술의 혁신과 AI 발전에 필요한 비전을 제시했다.
우선 이 사장은 AI 시대에 메모리가 직면한 세 가지 과제로 ▲ 전력 소비 급증 ▲ 메모리 월(병목 현상) ▲ 부족한 저장 용량을 꼽았다.
이어 "AI 데이터 처리에 더 많은 저장 용량이 필요해 고성능·고용량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세미콘 타이완 2024'에서 기조연설하는 이정배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장(사장) |
또 그는 "AI가 진화하는 과정에서 클라우드 기반 AI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온디바이스 AI의 발전이 필수"라며 "HBM을 잘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온디바이스 AI 설루션, 대용량 스토리지 등 다양한 제품군이 필요하다"며 다양한 설루션을 보유한 삼성전자의 강점을 부각했다.
아울러 "기존 메모리 공정만으로는 HBM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로직 기술이 결합해야 하며, 삼성전자는 파운드리와 시스템LSI를 자체적으로 보유해 이 분야에서 가장 강력한 위치에 있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삼성전자는 업계 선두 주자들과 협력해 AI 및 메모리 기술의 미래를 함께 개척해 나가겠다"며 "앞으로도 파트너사들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술 혁신을 이끌고, AI 메모리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