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픽=디미닛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은 올해 들어 지난 11일까지 30.46% 상승해 금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아울러 업계선 미국 대선 이후 비트코인 가격 강세를 전망하고 있다.
지지부진한 국내 주식과 달리 강세를 보이는 비트코인에 관심이 있다면, 추석 보너스나 용돈으로 가상자산 투자를 시작해보면 어떨까. 테크M이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각양각색 투자 서비스를 모아봤다.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코인 모으기'
17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업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는 자동으로 적립식 투자하는 '코인 모으기'를 출시했다. 적립식 자동 투자는 단기 투자에 따른 변동성 위험을 줄이는 한편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종목에서 이익을 낼 수 있어 증권시장에서도 주목받는 투자 방식이다.
업비트의 코인 모으기 서비스 /사진=두나무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인 모으기 이용자들은 투자하려는 가상자산, 시점, 금액을 정해 정기 자동주문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달 25일', '12시에서 12시 5분 사이에', '10만원씩', '비트코인'을 사겠다고 설정하면 알아서 꼬박꼬박 비트코인을 매수한다.
주문 최소 금액은 1만원이다. 한 개의 주문당 최대 100만원까지 신청이 가능하며, 가상자산당 최대 주문 가능 금액은 300만원이다. 서비스 초기 코인 모으기를 통해 매입할 수 있는 가상자산은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3종이며, 이후 다양한 종목이 추가될 예정이다.
빗썸에선 상승장 하락장 구분 없이 수익 낸다
빗썸도 지난달 가상자산 렌딩 서비스를 개편했다. 가상자산 렌딩 서비스는 투자자가 가상자산이나 원화를 담보로 가상자산을 일정기간 대여하는 서비스다. 일종의 마진 거래다. 빗썸에선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에 대해 상증장 렌딩과 하락장 렌딩이 가능하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상승장 렌딩은 가상자산 시세 상승시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보유 중인 가상자산을 담보로 동일한 가상자산을 빌리고, 상환시 빌린 시점의 원화 가치만큼 가상자산을 상환한다. 만약 상승장 렌딩을 이용했는데 가상자산 가격이 2배 상승하면, 시세차이의 약 1.82배 수익이 발행한다.
다만 상승장 렌딩을 통해 가상자산을 대출 받았는데, 가상자산 가격이 떨어져 렌딩 비율이 92% 도달해 자동 상환 되는 경우엔 약 20%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하락장 렌딩도 마찬가지다.
코빗에선 가상자산 보유만 해도 '보상'
코빗도 지난달부터 가상자산을 보유하기만 해도 보상을 주는 '데일리 리워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코빗에 상장된 가상자산 6종(이더리움, 솔라나, 에이다, 트론, 폴카닷, BNB)의 원화 환산 금액 총합이 50만원을 넘는 고객이라면 누구든지 매일 해당 자산 중 무작위로 일정 금액의 리워드를 받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고객 참여형 서비스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특히 코빗은 추석을 맞이해 이벤트를 진행, 9월에 데일리 리워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매주 한명에게 1이더리움을 지급한다. 뿐만 아니라 데일리 이워드 서비스 이용 동의 시 3000원 상당의 이더리움을 즉시 지급한다. 또 신규 가입 회원에겐 5000원 상당의 이더리움을 추가로 지급한다.
뿐만 아니라 코빗은 지난 2022년부터 '적립식 구매'와 '묶음 구매'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적립식 구매는 투자자가 사전 예약한 주기(일별·주별·월별)와 투자 금액, 가상자산 종류 및 기한에 따라 가상자산의 반복, 자동 매수가 가능하다. 묶음 구매는 여러 종류의 가상자산을 사전에 구성된 포트폴리오에 맞춰 한 번에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로 투자자가 가상자산별 매수 비율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대신증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지난 11일까지 재테크 수단별 수익률을 비교한 결과 비트코인이 30%대로 가장 좋은 수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가상자산에 관심이 있었다면, 작지만 소중한 추석 보너스나 용돈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활용해 투자를 시작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성우 기자 voiceactor@techm.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