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19 (목)

[취재후 Talk] 정치권에 퍼진 '가족리스크' 속 이재명 아들 공개, 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V조선

출처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페이스북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두 아들과 성묘하는 모습을 공개해 화제다. 특히 두 아들의 얼굴이 대중에 드러난 건 지난 2017년 대선 이후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표는 지난 대선 자녀 문제로 곤욕을 치른 바 있다. 경기지사 시절 수행비서였던 경기도청 7급 공무원이 근무 시간 아들의 병원 퇴원 수속을 대리로 처리해 준 게 문제가 됐다.

장남이 불법 도박 사이트를 이용한 것과 스스로 강남 지역 여러 오프라인 도박장을 다녔다는 인증글을 쓴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불거지기도 했다.

이재명 당시 대선 후보는 이를 인정하고 "부모로서 자식 가르침이 부족했다"며 사과했다. 향후 문제가 있다면 법적 책임도 지겠다고 했다.

이 때문인지 당시 두 아들은 이 대표 선거운동에 일절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2017년 대선 땐 무대에 네 가족이 나란히 서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던 것과 대조적이었다.

이 대표의 명절 인사는 주로 형식적인 것들이 많았다. 당 대표실, 그보다 전엔 경기도청, 성남시청에서 사전 촬영한 영상 메시지를 띄우는 식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추석과 올해 설 명절은 달랐다. 공교롭게도 모두 일신상의 고비를 겪은 직후였다.

올 초 피습 직후 맞은 설 명절 때 이 대표는 부모님과 함께 찍은 자신의 어릴 적 사진을 공개했다. "생사의 문턱을 잠시 헤매서인지 의미가 남다르다"고도 했다.

지난해 추석은 법원에서 자신의 구속영장이 기각된 직후였다. 이 대표는 "고비마다 함께해 줘 감사하다"는 소회를 밝히는 것으로 추석 인사를 채웠다.

이 대표에게 이번 추석은 24년 만에 민주당 대표 연임에 성공하고 처음 맞는 명절이다. 동시에 오랜만에 별다른 사건사고 없이 맞이한 연휴이기도 하다.

이 대표 주변에선 '특히 이 대표가 피습 직후 달라졌다'는 말을 많이 한다. 사실상 덤으로 사는 거란 생각으로 매사 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대중과의 '격의 없는 소통'이 트레이드 마크였던 이 대표가 유일하게 거리를 둬온 자녀 일신 공개까지 나선 것 아닐까 싶기도 하다.

정치권은 지금 '가족 리스크'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와 장모의 주가 조작 의혹 등은 국회 특검법 통과가 코앞이다. 문재인 전 대통령도 전 사위의 특혜 채용 의혹과 부인 김정숙 여사의 샤넬 재킷 의혹 등이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는 부인 정경심 교수가 자녀 입시비리 사건으로 재판을 받고 있다.

TV조선

지난 2017년 이재명 당시 대선 경선 후보 출마선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대표 역시 자신의 사법리스크 1심 선고를 앞둔 것은 물론, 부인 김혜경 씨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최근 피고인 신문을 받았다. 하지만 이 모두를 '김 여사는 소환도 안 하면서 야당 탄압 수사를 벌인다'는 논리로 방어하고 있다.

'절대적 선'은 정치권에서 사라지고 있다. 이제는 누가 더 큰 잘못이냐를 따지는 '상대적 악'만 남았다. 야당 정치인들에 대한 각종 수사는 '솜방망이 처분을 받는 김 여사'란 프레임과 함께 저울대에 오른다. 그 결과는 대부분 '용산에 비하면 탄압이고 보복'인 것으로 귀결된다. 지난 총선 이후 야당 의원들 사이에선 "사법리스크 하나 정도 있는 게 오히려 정치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우스개가 나올 정도였다.

말도 탈도 많았던 이 대표의 자녀들이 깜짝 공개된 게 이런 맥락과 연관됐다고 보는 건 무리한 시각일 수 있다. 실제 이 대표 측에서도 "명절 동정 이상 이하도 아니다"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다. 그러나 적어도 이 대표 마음가짐 하나만큼은 이전과는 다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피습 이후 달라진 자신이든, 용산에 비해 당당한 자신이든.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 대표는 SNS 게재 4시간여 만에 자녀 사진을 삭제했다.

최지원 기자(one@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