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5 (일)

[단독] “심장 속 어둑한 방에…” 한강, 노벨상 수상 뒤 첫 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온라인 무크지 ‘보풀 사전’ 갈무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15일 저녁 9시 온라인 무크지 ‘보풀 사전’에 한강 작가의 ‘깃털’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보풀 사전’은 한강 작가가 이햇빛, 전명은, 최희승 작가와 함께 만드는 온라인 무크지로 구독을 신청하면 네 작가가 쓴 글을 받아볼 수 있다. 이 곳에 노벨문학상 수상 뒤 한강 작가의 첫 글이 공개된 것.



외할머니와의 추억을 떠올리는 이 글은 깃털과 할머니의 흰머리, 웃는 얼굴, 전구 빛이 ‘흰’ 이미지로 연결된다. 마지막 문장의 ‘빛’이 의미심장하다. ‘유난히 흰 깃털을 가진 새를 볼 때, 스위치를 켠 것같이 심장 속 어둑한 방에 불이 들어올 때가 있다.’ ‘흰색’은 겨울과 눈의 작가 한강 작가가 책으로도 제목 짓고(‘흰’) 쓸 만큼 좋아하는 이미지다. 흰 이미지들이 밝히는 밝은 기운이 읽는 사람에게 따뜻함을 전해준다.



구둘래 기자 anyone@hani.co.kr ,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깃털



문득 외할머니를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나를 바라보는 얼굴이다. 사랑이 담긴 눈으로 지그시 내 얼굴을 들여다보다가 손을 뻗어 등을 토닥이는 순간. 그 사랑이 사실은 당신의 외동딸을 향한 것이란 걸 나는 알고 있었다. 그렇게 등을 토닥인 다음엔 언제나 반복해 말씀하셨으니까. 엄마를 정말 닮았구나. 눈이 영락없이 똑같다.



외갓집의 부엌 안쪽에는 널찍하고 어둑한 창고 방이 있었는데, 어린 내가 방학 때 내려가면 외할머니는 내 손을 붙잡고 제일 먼저 그 방으로 가셨다. 찬장 서랍을 열고 유과나 약과를 꺼내 쥐어주며 말씀하셨다. 어서 먹어라. 내가 한입 베어무는 즉시 할머니의 얼굴이 환해졌다. 내 기쁨과 할머니의 웃음 사이에 무슨 전선이 연결돼 불이 켜지는 것처럼.



외할머니에게는 자식이 둘뿐이었다. 큰아들이 태어난 뒤 막내딸을 얻기까지 십이 년에 걸쳐 세 아이를 낳았지만 모두 다섯 살이 되기 전에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났기 때문이다. 늦게 얻은 막내딸의 둘째 아이인 나에게, 외할머니는 처음부터 흰 새의 깃털 같은 머리칼을 가진 분이었다.



그 깃털 같은 머리칼을 동그랗게 틀어올려 은비녀를 꽂은 사람. 반들반들한 주목 지팡이를 짚고 굽은 허리로 천천히 걷는 사람. 대학 1학년 여름방학에 혼자 외가로 내려가 며칠 머물다 올라오던 아침, 발톱을 깎아드리자 할머니는 ‘하나도 안 아프게 깎는다… (네 엄마가) 잘 키웠다’고 중얼거리며 내 머리를 쓸었다. 헤어질 때면 언제나 했던 인삿말을 그날도 하셨다. 아프지 마라. 엄마 말 잘 듣고. 그해 10월 부고를 듣고 외가에 내려간 밤, 먼저 내려와 있던 엄마는 나에게 물었다. 마지막으로 할머니 얼굴 볼래? 내가 고개를 끄덕이자 손을 잡고 병풍 뒤로 가 고요한 얼굴을 보여주었다.



유난히 흰 깃털을 가진 새를 볼 때, 스위치를 켠 것같이 심장 속 어둑한 방에 불이 들어올 때가 있다.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