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22 (화)

현대차 인도법인, 현지 증시 사상 최대규모 상장…“인도가 곧 미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왼쪽에서 두번째)이 22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 증권거래소에서 열린 현대차 인도법인 증시 상장 기념식에서 타종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현대자동차 인도법인이 인도 증권시장에 사상 최대 규모로 신규 상장했다. 현대차는 적극적인 현지 투자로 세계 3위 자동차 대국인 인도를 신흥시장 진출의 거점으로 삼는다는 전략이다.

현대차는 22일(현지시간) 인도 뭄바이의 증권거래소(NSE)에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등 경영진이 참석한 가운데 인도법인 상장 기념식을 열었다.

정 회장은 인사말에서 “현대차 인도법인은 인도 진출 이후 인도의 일부로 자리잡았다”면서 “인도가 곧 미래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인도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늘리고 연구·개발(R&D) 역량을 확장해 25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앞으로도 현대차 인도법인은 최고 수준의 거버넌스 표준을 수용하고 이사회를 통해 신중하고 투명하게 시의적절한 의사결정을 할 것”이라며 “협력과 동반성장 정신에 기반해 현지화에 대한 헌신도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인도법인 상장을 알리는 타종에도 직접 나섰다.

현대차 인도법인의 공모가는 희망 공모가 밴드의 최상단인 주당 1960루피(약 3만2000원)로 책정됐다. 공모가 기준 현대차 인도법인의 전체 공모 금액은 4조5000억원에 달한다. 이는 현지 증시 사상 최대 규모의 기업공개(IPO)다.

현대차 인도법인 상장은 외국계 완성차 기업으로는 마루티스즈키에 이어 인도 증시 사상 두 번째이며, 현대차 해외 자회사로서는 첫 번째다.

정 회장은 기념식 후 취재진과 만나 “(상장을 통해) 조달한 자금은 하이테크와 소프트웨어, 젊은층이 원하는 차량 개발 등에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는 내년 하반기 푸네공장을 추가 가동해 첸나이공장과 함께 연간 100만대 생산 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중동과 아프리카,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중남미 등 신흥시장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인도 권역을 전략적 수출 허브로 육성할 방침이다.

현대차는 1996년 인도법인을 설립, 남부 타밀나두주 첸나이에 완성차 조립 1공장을 건립해 1998년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어 첫 현지화 모델 ‘상트로’로 인도 시장에 첫발을 내디뎠다. 2016년 연간 판매량 50만대를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60만대 넘게 팔아 연간 최다 판매 기록을 세웠다. 시장 점유율은 14.6%로 전체 브랜드 중 2위를 달리고 있다.

인도는 중국, 미국에 이어 세 번째(연간 500만대)로 큰 자동차 시장이다. 전동화 부문의 성장도 기대된다. 인도 정부가 전동화 정책에 적극적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4%대에 머물러 있는 전기차 판매 비중을 2030년까지 30%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맞춰 현대차는 내년 초 첫 현지 생산 전기 SUV ‘크레타 EV’ 출시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5개의 전기차 모델을 인도 시장에 투입할 계획이다. 아울러 배터리 시스템 및 셀, 구동계 등 주요 부품의 현지 생산 역량을 끌어올리고, 인도 전역의 전기차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에도 속도를 낸다.

2030년까지 전기차 충전소를 485개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또 기아와 함께 인도 배터리 전문기업인 엑사이드 에너지와 업무협약을 맺고 전용 전기차 모델에 현지 생산 배터리를 탑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대차는 28년 전 인도 시장에 진출한 이후 고객 삶의 행복을 위한 진정성 있는 여정을 이어왔다”며 “기업공개 이후에도 인도의 국민기업으로서 긍정적인 임팩트를 창출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재현 기자 jaynews@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창간 기념 전시 ‘쓰레기 오비추어리’에 초대합니다!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