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로봇이 온다

'일상 엿보는 中 로봇청소기' 해킹 우려 확산에… 韓 첨단 보안 기술 '차별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에코백스사 '디봇 X2' 해킹 잇따라

국내 가전업계 보안 경쟁력 강화

삼성, 자체 플랫폼 '녹스' 확대 적용

LG, 표준 보안개발 프로세스 반영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최근 중국산 로봇청소기가 해킹되어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사물인터넷(IoT) 기기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로봇청소기에 장착된 IP(인터넷) 카메라가 사생활 침해 도구로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 국내 주요 가전업체들은 소비자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자사 제품에 적용된 첨단 보안 기술을 내세우며 대응에 나서고 있다.

메트로신문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3일(현지시각) 미국 ABC뉴스와 뉴욕포스트 등에 따르면, 미국 가정집 곳곳에서 중국 에코백스사의 로봇청소기 '디봇 X2'가 해킹당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다니엘 스웬슨은 외부인이 기기를 원격 조종하거나 기기를 해킹해 인종차별적이거나 성적인 욕설을 하는 걸 들었다고 말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LA)의 한 가정에서는 로봇청소기가 반려견을 쫓아다니며 위협하는 일도 있었다.

이 같은 피해 사례가 잇따르자, 에코백스는 자체 조사 후 피해자들의 계정과 비밀번호가 해킹된 사실을 확인했고, 해킹범의 IP 주소를 차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에코백스 측은 ABC뉴스를 통해 "에코백스 시스템이 침해돼 계정이 해킹당했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라고 밝혔다. 해킹의 원인이 자사 시스템 문제가 아니라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잘못 관리한 소비자에게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그러나 IT 전문가들은 로봇청소기에 장착된 IP 카메라가 해킹될 경우 심각한 사생활 침해를 야기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IP 카메라는 가정집 돌봄용이나 상업·공공시설 등에 방범용으로 광범위하게 보급돼 있다. 한 전문가는 "현재 시장에 유통된 IP 카메라 80%는 중국산"이라며 "중국산 IP 카메라는 제조사가 서버·기기에 사용자 정보를 빼갈 수 있는 '백도어'를 심어둔 제품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기기들이 상대적으로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이 같은 우려 속에, 중국산 제품이 장악한 국내 로봇청소기 시장에서 '보안 경쟁력'으로 우위를 점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삼성전자는 자체 보안 플랫폼인 '녹스(Knox)'를 통해 로봇청소기의 보안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녹스는 원래 모바일 보안 플랫폼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TV와 로봇청소기 등 다양한 IoT 가전 기기에도 적용돼 전방위적인 보안을 제공하고 있다.

녹스는 촬영된 이미지와 영상을 스마트싱스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저장하며,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는 다층 방어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때 보관된 데이터도 24시간 후 자동 삭제돼 사용자 사생활을 해킹 시도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 삼성전자는 글로벌 인증기관인 'UL 솔루션즈'가 실시하는 사물인터넷(IoT) 보안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다이아몬드'를 가장 많이 획득하며 보안 우수성을 입증한 바 있다.

LG전자 역시 자체 보안 시스템인 'LG 쉴드(LG Shield')를 통해 IoT 소비자의 데이터를 보호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AI 기술을 적용한 로봇청소기에 고급 암호화 기술을 접목해 사용자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한편, 'LG 표준 보안개발 프로세스(LG SDL)'도 로봇청소기에 적용해 데이터 유출 방지에 힘쓰고 있다. LG전자 관계자는 "데이터 암호화와 함께 사용자의 정보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개발 단계부터 철저한 보안 검토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