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주관 첫 추모제도 열려
우원식 국회의장 "국회 대표해 참시 피해자에 사과…특조위 지원 약속"
시민들 "2년 지났지만, 바뀐 것 없어…책임자 처벌하고 안전사회 만들어야"
이태원 참사 2주기…이어지는 추모의 발걸음.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0·29 이태원 참사 2주기인 29일 국회 주관으로 희생자 추모행사가 열렸다. 국회가 사회적 재난을 추모하는 행사를 공식 주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태원 참사 현장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도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유가족을 위로하는 시민들의 발걸음이 온종일 이어졌다. 유가족과 생존 피해자들은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의지를 다시 한 번 다지고, 2차 가해 중단을 위한 사회적 노력도 당부했다.
국회 주관 첫 추모제…의장 "유가족·피해자에 사과"
이날 오전 국회의장과 여야 지도부는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10·29 이태원 참사 2주기 추모제'를 열어 희생자들에게 애도의 뜻을 표하고, 유가족과 생존 피해자들을 위로했다.우원식 국회의장은 추모사에서 "국가의 책임이 부재했던 시간이었다"며 "유가족과 피해자에게 대한민국 국회를 대표해 사과드린다. 오늘 대한민국 국회의 이름으로 함께하는 이 자리가 그 상처에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추모식장 무대 배경에는 "우리에겐 아직 기억해야 할 이름들이 있습니다. 159명의 별을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희생자들의 사진이 배치됐다. 국회 곳곳의 가로등과 가로수에도 희생자를 애도하는 보라색 목도리가 걸렸다. 유가족들 사이에선 "이제야 비로소 존중받는 느낌이 들었다"는 얘기도 나왔다.
우원식 국회의장이 2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10.29 이태원참사 2주기 국회 추모제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참사 생존자 이주현씨는 "수동적인 피해자 조사가 아닌 한 명 한 명 찾아 나서는 적극적인 피해자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 피해자들이 피해 사실을 입증하는 데 어려운 부분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송기춘 특조위원장은 "조사는 수사보다 그 대상과 범위가 넓혀져야 한다"며 "(특별법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위원회에 부여된 과업을 반드시 완수해 내겠다"는 다짐을 밝혔다.
참사 현장에는 시민 '추모 행렬'…"바빠도 기억했으면 좋겠다"
참사 현장인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는 낮부터 퇴근 시간을 넘긴 늦은 밤까지 시민들의 추모 발걸음이 이어졌다. 핼러윈데이를 이틀 앞둔 시점이지만 거리는 차분한 분위기였다."얼마 전까지도 놀다가 죽은 걸 왜 추모하냐고 하더라고요. 제 지인이 여기서 이렇게 간 줄 모르고 한 말이겠죠."
이날 퇴근하자마자 참사 현장을 찾았다는 A씨는 바닥에 놓인 수십 개의 꽃을 보며 하염없이 눈물을 흘렸다. A씨는 "책임자 처벌이 이뤄져야 재발 방지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아 (참사가) 더 잊혀 가는 것 같다"며 "2년이 지났지만, 아무것도 바뀐 게 없다"며 눈물을 닦았다.
29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참사현장에 이태원 참사 2주기를 맞아 희생자들을 기리는 국화꽃과 술병들이 놓여있다. 박인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도 시흥시에서 추모를 위해 이태원을 찾은 시민 최슬기(36)씨는 "왕복 4시간이 걸리지만 유가족들이 외롭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서 왔다"며 "사는 게 바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태원 참사를) 기억했으면 좋겠다"며 씁쓸한 웃음을 지었다. 최씨는 "2년이 지났지만, 바뀐 게 없다고 생각한다"며 "진실 규명도, 책임자 처벌도 안 됐는데 무죄 판결이 나버리면 생명과 안전을 보장 받아야 하는 국민이 나라를 어떻게 믿겠느냐"며 분노했다.
이태원시민대책위원회는 이태원 참사 추모거리에서 사전에 접수한 추모메시지를 시민들이 대독하는 시간도 가졌다. 메시지에는 "기가(기술가정)쌤, 선생님이 너무 보고 싶어서 왔어요", "엄마, 아빠 그리고 네 예비 신랑이 많이 보고 싶어 해", "우리는 네가 그리워 알리. 편히 쉬길", "여보, 벌써 1년이 돼가요", "현서야, 할아버지야. 손자를 못 지켜줘서 미안해", "혼자 살아나온 것 같아 미안합니다", "사랑하는 한나(딸아) 잘 지내고 있는지 궁금하구나" 등 희생자들의 가족, 친구, 학생, 참사 목격자 등 시민 100명의 그리움이 담겨 있었다.
10·29 이태원 참사 2주기를 맞은 29일, 서울 용산구 녹사평역에서는 지난 2년간 이태원역 1번출구 참사현장과 분향소에 시민들이 남기고 간 추모메시지 낭독회 '닿을 수 있다면'이 열렸다. 10·29 이태원 참사 시민대책회의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 이메일 : jebo@cbs.co.kr
- 카카오톡 : @노컷뉴스
- 사이트 : https://url.kr/b71afn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