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8 (금)

경조사, 그리고 쌍특검 [말글살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지난 9월26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립대전현충원 내 해병대 고 채 상병 묘역에서 해병대예비역연대 회원들이 전역 복과 모자를 올려놓고 채상병을 추모하고 있다. 이날 고 채상병 동기(1292기)들은 전역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높낮이’처럼 반대말끼리 부둥켜안아 새 단어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한몸이 되면 뜻이 달라지기 일쑤. ‘위아래’는 정반대의 위치를 가리키는 데에 머무르지 않고 사람 사이의 위계를 뜻하기도 한다. ‘홀짝’은 단순하되 박진감 넘치는 놀이이다. ‘오르락내리락’은 올라갔다 내려갔다 하는 걸 ‘되풀이하는’ 모습을 담는다. ‘오다가다 만난 사람’에 쓰인 ‘오다가다’는 아예 품사를 바꾸어 ‘우연히’라는 뜻의 부사가 되었다. 한자어는 더 흔하다. ‘전후, 좌우, 선후, 완급, 강약, 장단, 빈부, 귀천, 희비, 생사, 출입…’. 끝이 없다. 서양 말에는 이런 식의 단어 조합이 없다.





(한겨레 ‘오늘의 스페셜’ 연재 구독하기)





그중에 ‘경조사’라는 단어는 왠지 입속의 모래처럼 꺼슬꺼슬하다. ‘경사’와 ‘조사’, 기쁜 일과 슬픈 일의 병존이라니. 둘은 정말 같이 놓일 만한가? 겉만 보면 공통점이 많다. 옷을 갖춰 입고 인사를 하고 돈(축의금, 조의금)을 내고 밥을 먹는다.



속을 들여다보면, ‘경사’는 수천수만 가지지만, ‘조사’는 한가지. 아이가 태어나도, 합격을 해도, 졸업을 해도, 사랑을 해도, 결혼을 해도 경사로다, 경사로세. 살면서 춤추고 노래 부를 만한 일이 한둘이 아니다. 하지만 ‘조사’라고 부를 수 있는 건 오직 하나, ‘죽음’밖엔 없다. 모든 게 멈추고 뒤틀리며 무너져 내리는 죽음만이 ‘유일한’ 슬픔이다. 그래서 ‘조사’는 ‘경사’와 함께할 수 없다.



무례한 자들은 죽음 옆에 죽음 아닌 것들을 나란히 놓음으로써 죽음을 그저 일어날 수 있는 여러 사건 중의 하나로 만든다. 이를테면 ‘쌍특검’이란 말(김건희 특검법+채 상병 특검법)은 ‘경조사’란 말처럼 함께 묶여서는 안 될 말이다. 젊은 군인의 어처구니없는 죽음은 어떤 것과도 견줄 수 없다. 한낱 대통령 부인의 부패와 한 묶음이 될 수 없다. 쌍스럽다.





김진해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행운을 높이는 오늘의 운세, 타로, 메뉴 추천 [확인하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