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세제개편안은 상속·증여세 과세표준 최저 구간을 '1억원 이하'에서 '2억원 이하'로 높이고, 최고 구간을 '30억원 초과'에서 '10억원 초과'로 낮추면서 최고세율은 50%에서 40%로 인하하는 안을 담고 있다. 1인당 5000만원인 자녀공제 한도도 5억원으로 상향을 추진한다. 자산 가격 상승에 따른 중산층의 상속세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취지다.
한국의 상속세 최고세율은 50%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상속세 최고세율 26%에 비해 월등히 높다. 총조세 대비 상속·증여세 비중도 2.1%로 OECD 평균(0.4%)보다 높다. 상속세 공제 한도는 1997년 이후 28년째 그대로인데, 같은 기간 주택 가격은 2.2배 상승했다. 서울에 아파트 한 채만 있어도 상속세를 걱정해야 할 지경이다. 실제로 2000년 1조원이던 상속·증여세는 지난해 14조6000억원으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상속·증여세 납부 대상자도 3만9000명에서 26만8000명으로 급증했다. 상속세를 피해 해외로 이주하는 자산가도 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상속세 개편을 단순한 감세 정책으로만 보는 것은 편협한 시각이다. 집 한 채가 전 재산인 가장이 사망할 경우 가족들이 집을 팔아 세금을 내야 한다면 정상적인 세금이라고 할 수 없다. 가업승계가 어려워진 기업인들이 기업가정신을 잃는 것은 경제 활력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상속세 완화=부자 감세'라는 낡은 프레임에서 빠져나와야 한다. 사실 그동안의 폐해를 감안하면 상속세는 개편이 아니라 궁극적으로 폐지를 검토해야 할 세금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