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3 (수)

[주간증시전망] 트럼프發 충격 누그러질 듯… 中 경기부양 기대감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올해 내내 국내외 증시를 흔들었던 미국 대통령 선거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로 결론 났다. 미국 상·하원에서도 공화당이 과반을 확보하면서 국내 주식시장은 ‘트럼프 트레이드’가 나타났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주식시장의 예상대로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트럼프 당선인이 사퇴를 요구해도 안 할 것이라고 못 박았다.

빅 이벤트에 출렁였던 코스피·코스닥지수 모두 지난주 상승 마감했다. 코스피지수 주간 상승률은 0.7%였다. 코스닥지수는 2% 가까이 올랐다. 불확실성이 줄면서 ‘팔자’를 이어가던 외국인도 일주일 동안 1754억원 매수 우위를 보였다. 직전 주(10월 28일~11월 1일)에 1조2620억원어치를 팔아치웠던 것과 대조적이다.

조선비즈

8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주는 미국 대선 결과 등에 출렁였던 시장 분위기가 회복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채권 금리의 기준 역할을 하는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확정 직후 4.4%선을 넘어서기도 했으나, 다시 진정세를 보이고 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 역시 급등을 멈췄다.

증권사들은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따라 혜택을 볼 수 있는 업종을 중심으로 등락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방산·조선업이 대표적이다. 수혜 업종으로 분류된 우주·항공업의 경우 오는 18일 스페이스X 6차 시험 비행 결과가 투자심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차전지·신재생에너지 등 이른바 ‘트럼프 피해 업종’이 낙폭을 만회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기대심리 등이 단기간에 반영됐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까지 시간도 남았다.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일은 2025년 1월 20일이다. 내각 구성에도 3~4개월가량이 더 걸린다. 트럼프 당선인의 정책은 2025년 하반기부터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뜻이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올 연말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글로벌 금융시장은 경제·통화, 실적 흐름에 근거한 추세대로 움직일 것”이라며 “실적 대비 저평가 업종이자 트럼프 당선 직후 급락세를 보인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인터넷 업종이 코스피 상승을 주도할 예정”이라고 내다봤다.

국내 상장사의 올해 3분기(7~9월) 실적 발표는 이번 주로 마무리된다. 개별 기업 경영 성과는 물론 전망치 등이 주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NH투자증권은 트럼프 트레이딩(매매)과 별개로 경쟁력이 있는 제약·바이오주와 엔터주를 추천 종목으로 꼽았다.

조선비즈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가 5일 오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전국인민대표대회 개막식에 참석해 정부 업무보고를 발표하고 있다./이윤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국의 경기 부양책 기대감도 국내 증시에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중국의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가 지난 8일 폐막하면서, 초대형 경기 부양책이 나올 것이란 예상이 잇달았다.

부양책 규모가 시장의 기대치에 못 미치거나 발표 시점이 미뤄질 수도 있지만, 기대감은 살아있을 것으로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다봤다. 그는 “중국 부양책이 현실화하기 전까지 중국 소비 관련 분야인 음식료, 화장품 업종에 대한 관심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주요 지표로는 13일(현지시각) 나오는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와 15일 소매판매 지표가 있다. 연준이 오는 12월 FOMC에서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지가 관건인 가운데 물가 흐름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파월 의장을 비롯해 다수 연준 위원의 연설도 이번 주 예정돼 있다.

강정아 기자(jenn1871@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